KA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연구비 부정 사용과 논문 대필 등 연구 관련 부정행위가 드러났다.
KAIST 대학원 총학생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0 대학원 연구환경 실태조사’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총학생회가 지난해 KAIST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 900명을 대상으로 벌인 내용이다. 설문조사 결과 조사 대상 중 114명(12%)이 논문 저자와 관련해 교수나 선후배와 갈등을 겪었다고 응답(복수응답)했다. 이들 가운데 29명은 연구와 관련없는 사람을 저자에 포함했다고 답했고, 기여도와 상관없이 선배를 저자로 게재하거나 지도교수를 교신저자로 게재하기도 했다. 특히 8명은 기여도와 상관 없이 지도교수를 제1저자로 게재했고, 27명은 교수의 논문이나 저서를 대필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89명은 교수의 요구에 따라 연구비 회수 등의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고, 113명은 책정된 연구인건비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학내 성희롱 경험도 상당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 가운데 54명이 1~2회의 성희롱을 겪었고, 17명은 종종, 3명은 자주 있었다고 응답했다.
실험 환경에 대한 우려와 불만도 높았다. 실험의 위험 수준에 대해 633명이 상당히 또는 아주 높다고 답했고, 실험실 안전을 위해 실험실 시설 개선(346명)이나 노후장비 교체(287명)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KAIST는 학교 윤리위원회를 열어 연구원 인건비의 부당 관리와 부적절한 논문저자 포함, 실험실 안전 등의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정황을 파악하기로 했다.
KAIST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와 함께 KAIST 감사실에서도 제기된 문제점들의 엄중함에 비춰 정확한 사실관계 규명을 위한 특별조사에 착수했다”라며 “확인되는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에 개선방안을 도출해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