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낡고 비좁은 청사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차장이 부족해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무실 공간이 없어 옥상 가건물로 내몰리는가 하면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도 제한이 따르고 있다.

이에 시설 노후에 따른 문제점과 검토 가능한 신청사 마련 방안 등을 모색해본다. / 편집자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3가에 위치한 현 시청사는 본관(지하 1층, 지상 4층, 1965년)과 의회동(지하 1층, 지상 3층, 1979년), 후관(지하 1층, 지상 4층, 1989년)으로 최고 45년에서 최저 21년이 경과된 건물들이다.

특히 전체부지가 1만 2540㎡(3800여 평)에 불과하다보니 직원들의 사무실 공간 확보에, 민원인은 주차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그동안 행정수요 증가에 따른 사무실 공간 확보를 위해 시가 선택한 방법은 증축이다.

실제 본관은 지상 3층에서 지난 83년 4층으로 증축됐으며, 의회동은 1층에서 80년 2층으로, 또다시 85년 3층으로 증축됐다. 또 후관 옥상에는 92년 가건물까지 건립해 활용중이다.

하지만 현재는 그마저도 안전진단 문제로 더 이상은 불가한 상태다.

최대 100면 정도에 불과한 청내 주차장은 직원들의 경우 일체 이용이 불가능하며, 일정규모 이상의 회의나 행사가 있는 경우 여지없이 만차가 돼 민원인들이 외부주차장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른다.

건물이 노후화되다보니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

현재 시청사 내부에 설치돼 있는 소방시설은 화재경보기와 소화전, 소화기 시설 외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초기 화재진화 효과가 탁월해 현행법상 다중이용시설에 반드시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스프링클러의 경우 후관 지하에만 설치돼 있을 뿐 나머지 건물 구조상 설치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지난 3일 후관 4층 옥상 가건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도 결과적으론 비좁고 노후화된 청사에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무실 공간이 부족해 창고 등으로 사용하던 이 곳을 리모델링해 사무실로 활용하려던 중 발생한 화재로 전기적 요인으로 불이 났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화재 진화 과정에서 후관 건물의 방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물이 3층 인터넷 전산실까지 흘러내리면서 시의 행정전산망 가동이 임시로 중단되는 2차 피해를 입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청사가 비좁고 노후화되다 보니 관리와 공간활용에 어려움이 많으며, 각종 설비에도 제약이 따르고 있다"이라며 "신축 또는 이전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겠지만 현재로선 기존 공간을 최대 활용하고 안전점검에 철저를 기하는 것 외엔 뾰족한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