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구 대흥동 주택재개발사업이 안갯속을 달리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시작된 대흥1구역 사업은 지난해 12월 대법원의 조합설립무효소송 원심무효 파기환송으로 주택재개발사업이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고, 대흥2구역의 경우 2007년 조합설립 이후 시공사의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으로 현재까지 더 이상의 진전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6일 대흥1·2구역 지역민들에 따르면 주택재개발 사업 가운데 큰 진전을 이끌며 사업추진을 위한 시공사 선정까지 끝마쳤지만 소송과 사업성 저하라는 악재를 만나 사업추진 여부를 점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왔다.

대흥1구역은 GS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돼 지난해 말 견본주택 부지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분양채비를 갖춘 상태에서 나온 결과라 조합측과 시공사 모두 충격파가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대흥1구역은 사업추진 여부가 미궁 속으로 빠져든 가운데서도 철거는 추진되고 있어 사업지속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말 대법원의 원심무효 파기환송 판결로 대전고등법원에서 6일까지 양측에 공변서를 제출토록 요청한 상태로 ‘조합설립인가가 적합한가’에 대한 부분이 사업추진을 지속여부를 결정짓는 주요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1심과 2심에서는 조합설립 변경인가가 합당한가가 주요쟁점이었다면 대법원 판결에서는 조합설립인가가가 적합한가에 문제가 불거져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흥1구역의 사업추진 여부는 대전고등법원에서 최종 판결될 예정이다.

또 대흥2구역의 사업 불투명 상황은 대흥1구역의 조합 측과 비상대책위원회 측과의 내홍이 아닌 부동산 침체에 따른시공사인 코오롱건설의 대흥2구역에 대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파악됐다. 대흥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은 2006년 9월 8일 대전시로부터 정비구역으로 지정 받고, 2007년 11월 13일 조합을 세운 뒤 1년 6개월여 만인 2009년 5월 사업시행인가를 얻어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지만 전국적으로 불어닥친 부동산 경기 침체에 사업추진은 연기만을 거듭하고 있다.

시공사인 코오롱건설은 여전히 사업성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는 의례적인 답변 뿐 명확한 사업추진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전지역에 불고 있는 부동산 회복조짐이 향후 대흥2구역 사업추진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대흥1·2구역은 은행동과 가깝고 도시철도와 10분 거리에 있는 등 입지여건이 좋아 원도심 도시기능 회복과 인구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 조속한 사업추진이 절실하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