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아쿠아월드가 지난해 12월 31일 개장하고 운영에 들어 갔지만 주차시설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아쿠아월드를 찾는 관람객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일 진입로 주변 주차시설 공사 현장 모습.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대전시가 아쿠아월드의 부지 선정은 “민간사업자 고유의 권한”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이 일대에 공영주차장을 건립하는 것은 “주차난 해소를 위한 최소한의 시설”이라고 항변하고 있어 시민을 위한 기관이 아닌 사업자를 위한 지자체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평상 시에도 교통체증이 심한 보문산 일원에 대규모 관광시설을 유치하면서도 교통영향평가 등 사전 교통대책을 전혀 수립하지 않아 이 일대의 ‘교통재앙’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대전시, 중구청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 4월 아쿠아월드를 유치할 당시 이미 보문산 진·출입로의 교통 취약성과 방문객이 일시에 대거 몰릴 경우 교통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기관은 이에 따라 이른바 ‘보문산 녹색관광 프로젝트’를 연계한 종합적 주차대책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공원지역 내 주차장 예정부지 등을 활용해 시가 300면, 민간에서 200면 등 모두 500면의 주차장을 건립키로 했지만, 현재 조성된 주차면은 아쿠아월드 주차타워 맞은편에 조성되고 있는 공영주차장 70면에 불과하다.

시는 부지매입 14억 원, 공사비 6억 원 등을 투입해 지난해 12월 완성을 목표로 주차장을 건설하고 있지만 겨울철 잦은 강설로 인해 완공이 지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와 중구는 교통난 해소를 위해 주차장 추가 건설 등을 유일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기본계획 및 예산편성은 전무한 상황이다.

여기에 아쿠아월드 인근 공영주차장과 관련해 시가 발 벗고 나서 민간사업자 만 배불리는 것이 아니냐는 특혜설도 나오고 있다.

실제 공영주차장이라는 명목이지만 사실상 아쿠아월드 전용주차장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회의적 시각이 팽배한 상황이며, 당초 사업지 선정은 민간사업자 고유의 권한이라고 주장한 시가 이제와서 귀중한 시민의 세금을 투입해 추가 주차장을 조성하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라는 게 시민·사회단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인근에 이미 105면 규모의 대사동 제1 노외주차장인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아쿠아월드 맞은편에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것은 누가 봐도 명백한 ‘특혜’라는 주장에 근거한다.

시 관계자는 “본래 시와 중구에서 공원 지역 내 주차장 예정부지를 활용한 공영주차장 건립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며 “추진과정에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부지 자체를 선정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중구 관계자는 “아직까지 아쿠아월드 부근에 추가 주차장 조성 계획은 없다”면서 “가뜩이나 열악한 자치구 재정난 속에서 이를 위한 예산투자 여력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