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 통합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통합에 앞장서야 할 공무원들도 일부가 예산 등을 이유로 통합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자칫 4번째 찾아온 청주청원 통합 기회를 날려버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낳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시종 충북도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가 당선된 이후 3차례 실패를 맛본 청주·청원 통합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지난해 8월에는 세 자치단체장이 모여 2012년까지 통합 준비 작업을 마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청주·청원통합추진합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번만큼은 청주·청원통합에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지만 현실은 여전히 만만치 않다.
우선 통합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충북도와 청주시, 청원군은 지난해 말까지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청원군이 “지역 내에서 찬·반 의견이 공존해 통합추진위원회 설치는 시기상조”라며 난색을 표해 지연되고 있다.
도와 각 시·군이 공동으로 발주할 예정이던 ‘청주·청원 공동발전’을 위한 연구용역도 연기되고 있다. 외면적으로는 지난해 청원군 일부 지역의 세종시 편입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발주가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내부적으로는 용역 방식과 내용 등을 놓고 충북도와 청원군이 갈등을 빚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원군 내 찬·반 민간단체의 분열도 골칫거리다. 지난 청주·청원통합과정에서 찬성운동을 벌인 청원청주통합군민추진위원회는 구성원들의 의견이 갈려 각각 단체를 구성했다. 또 반대운동에 앞장선 청원사랑포럼도 강경파가 독자적인 단체 설립을 준비 중에 있다.
이 군수는 지난 통합 과정에서 찬·반 운동을 벌인 인사들은 청원군 민간추진위원회에서 배제한다고 밝혔지만 통합에 대한 전문성, 대표성 등을 고려할 때 이들을 완전히 배제하기도 쉽지 않아 난관이 예상된다.
여전히 부정적인 일부 공무원들의 인식도 문제다. 최근 일부 청원군 공무원들은 사석에서 65만 인구에 9200여억 원의 청주시 예산과 15만 명에 4700여억 원의 청원군 예산을 비교하며 통합되면 청원군민들에게 돌아갈 예산이 줄어들 수 있다는 얘기를 퍼뜨리고 있다는 소문도 퍼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이 군수의 임기말이 다가오면 숨죽이고 있던 통합 반대세력들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한 지역인사는 “도지사와 시장, 군수가 합의했다고 통합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며 “막연한 낙관론만 기대하지 말고 주도 면밀한 계획아래 주민이 중심이 되는 통합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