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LH 경영정상화 발표 이후 대전지역 신규사업 조정이 답보상태를 거듭하면서 지자체가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기도는 4일 택지개발사업 지연에 따른 민원해소를 위해 LH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히는 등 발 빠른 대처를 보이고 있지만 대전 LH 신규사업지구 내에는 해당 구청 담당공무원 몇 명만이 다녀갔을 뿐 이렇다 할 추진여부가 전혀 나오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4일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지역민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LH 경영정상화 발표 시 신규사업지구에 대한 구조조정 안이 명확하게 나오지 않아 궁금증만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LH, 해당 지자체 누구 하나 지역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
현재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을 맡고 있는 LH대전충남지역본부는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LH 경영정상화 방안에 담긴 내용만을 지역민들에게 전달할 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침은 LH 본사 사업조정실로부터 하달받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지구 내 주민들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지 모르는 상황 속에서 대전시청과 동구청, LH대전충남지역본부 주변에 집회신고를 해놓고 늦어도 내주쯤 집단행동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특히 타 지역은 지자체들이 직접 나서서 지역민들의 목소리를 담아 LH에 전달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대전만은 주민들에 대해 너무 소극적인 대처만을 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불만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천동3지구 김영우 주민대책위원장은 “LH 경영정상화 발표 이후 LH, 지자체 누구 하나 사업추진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자체가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는 언론 보도가 된 이후 공무원 몇 명만이 다녀갔을 뿐 LH로부터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집단행동으로 우리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처럼 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경기도는 택지개발사업 지연에 따른 민원해소를 위해 LH법 시행령 개정(개정된 LH법에서 규정한 손실보전 범위에 '택지개발사업'을 포함해달라는 요청)을 추진한다고 밝힌 뒤 지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어 대전지역과 대비된다.
특히 경기도가 LH법 시행령 개정까지 추진하려는 궁극적인 이유는 주택지개발지구 지정에 따라 은행에 돈을 빌려 인근에 대토를 받아 이자를 부담하는 주민 상당수가 이자 감당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데 큰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현재는 알 수 없지만 주민의 아픔을 먼저 알고 무슨 일이라도 하려하는 한 지자체의 모습이 대전에서도 이뤄지길 LH 신규사업지구 내 주민들은 소망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경기도는 4일 택지개발사업 지연에 따른 민원해소를 위해 LH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히는 등 발 빠른 대처를 보이고 있지만 대전 LH 신규사업지구 내에는 해당 구청 담당공무원 몇 명만이 다녀갔을 뿐 이렇다 할 추진여부가 전혀 나오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4일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지역민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LH 경영정상화 발표 시 신규사업지구에 대한 구조조정 안이 명확하게 나오지 않아 궁금증만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LH, 해당 지자체 누구 하나 지역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
현재 대전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을 맡고 있는 LH대전충남지역본부는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LH 경영정상화 방안에 담긴 내용만을 지역민들에게 전달할 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침은 LH 본사 사업조정실로부터 하달받지 못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지구 내 주민들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지 모르는 상황 속에서 대전시청과 동구청, LH대전충남지역본부 주변에 집회신고를 해놓고 늦어도 내주쯤 집단행동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특히 타 지역은 지자체들이 직접 나서서 지역민들의 목소리를 담아 LH에 전달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대전만은 주민들에 대해 너무 소극적인 대처만을 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불만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천동3지구 김영우 주민대책위원장은 “LH 경영정상화 발표 이후 LH, 지자체 누구 하나 사업추진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자체가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는 언론 보도가 된 이후 공무원 몇 명만이 다녀갔을 뿐 LH로부터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집단행동으로 우리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처럼 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경기도는 택지개발사업 지연에 따른 민원해소를 위해 LH법 시행령 개정(개정된 LH법에서 규정한 손실보전 범위에 '택지개발사업'을 포함해달라는 요청)을 추진한다고 밝힌 뒤 지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어 대전지역과 대비된다.
특히 경기도가 LH법 시행령 개정까지 추진하려는 궁극적인 이유는 주택지개발지구 지정에 따라 은행에 돈을 빌려 인근에 대토를 받아 이자를 부담하는 주민 상당수가 이자 감당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데 큰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현재는 알 수 없지만 주민의 아픔을 먼저 알고 무슨 일이라도 하려하는 한 지자체의 모습이 대전에서도 이뤄지길 LH 신규사업지구 내 주민들은 소망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