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축산기반이 구제역 폭탄으로 침몰 위기에 처했다.

충남 천안시 수신면에서 시작한 구제역이 인근 지역으로 급속히 확산되며 도내 축산농가의 위기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구제역이 일파만파로 퍼지며 도내 가축이 대량으로 살처분·매몰되는 가운데 현재까지 전염경로에 대한 구체적인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어 자칫 확산국면이 지속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도는 구제역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긴급 백신접종을 실시했지만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 축산농가들의 시장경쟁력 저하 등에 대해 아무런 대비책도 마련되지 않은 상태로 지역 축산농가들의 근심이 앞서고 있다.

4일 도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인해 충남도내에서 살처분되거나 예정인 가축은 총 6만 352마리다.

이 가운데 지난달 7일 경북 영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한 2만 6101마리를 제외하면, 올해 들어 불과 2일만에 3만 4251마리를 살처분한 것.

그러나 단기간에 대규모 살처분이 실시되며 축산농가의 기반을 위협하고 있지만, 여전히 구제역 감염경로는 오리무중이다.

만일 구제역 확산이 장기화될 경우 도내 축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홍성·당진·예산·공주 등의 축산농가도 안전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에 도는 천안 등 구제역 발생지역 4개 시·군 12만 2000마리의 소와 서산 한우개량사업소 6427마리의 소에 대해 긴급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 일부 농가에서는 이미 발생한 지역만 접종을 실시하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예방적 차원에서 백신접종을 전 지역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는 등 구제역에 대한 도내 농가들의 위기의식은 절정에 달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백신접종에 따라 도내 한우에 대한 수요가 감소되고 가격이 하락되는 등 향후 어려움이 예견되지만, 이에 대한 대응책이 전무하다는 지적이다.

도는 이에 대해 접종에 따라 발생하는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해소키 위해 정부와 함께 대안을 마련해 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FTA협상 등 주변 축산물 수출국과 협상을 벌일때 청정지위국의 명분을 내세워 (구제역 수시 발생국의 축산물에 대한)수입을 받지 않겠다는 명분이 있었다”며 “이번 접종으로 인해 명분을 잃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OAI)의 조건에 따라 향후 최소 1년간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청정국 지위를 되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4일 충북 괴산에 구제역이 확진됨에 따라 전국 5개 시·도에서 81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 충남도가 4건(천안 3, 보령 1건)으로 집계됐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