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4·9 총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18대 국회의원들은 3/4에 가까운 임기를 넘는 동안 열심히 뛰어왔고, 그만큼 지역구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고 자부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과 올 연년 초를 맞는 의원들의 마음 한 편에선 ‘썰렁한 심정’을 지울 수 없다. 나름대로 정치활동의 ‘바로미터’라고 생각해 오던 정치후원금 통장에 지독한 찬바람이 불기 때문이다.
물론 원인은 알지만, 맥이 풀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더욱이 내년에 있을 총선을 생각하면 앞이 깜깜해진다.
예년에 비해 형편없을 정도로 정치후원금 통장 잔액이 줄어든 데는 지난해 10월 터진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입법 로비 의혹 사건이 터지면서부터다. 사건이 10만 원씩 내는 소액 후원금에서 발생했다는 점은 치명적이었다.
정치후원금 대부분은 의원의 지지자들이나 지인들의 10만 원 소액 후원금으로 채워져 왔다.
의원에게 후원하는 10만 원은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로 환급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의원들도 자연스럽게 후원금 지원을 부탁해 왔고, 지지자들도 별 부담 없이 후원금을 내 왔다. 하지만 청목회 로비 의혹 사건이 터지면서 소액 후원금이 대폭 줄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의원 지지자들이나 지인들이 후원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고 아예 연말에 보내던 정치 후원금 안내장을 포기한 의원실도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전의 A 의원 후원회 관계자는 “의원 사무실로 소액 후원금을 내면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전화나, 올해는 후원금을 보내지 않을 테니 양해해 달라는 전화가 많이 온다”라며 “이런 문의를 해 오는데 후원금을 내 달라고 독촉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문에 법적으로 허용된 연간 후원금이 평년의 두 배인 3억 원으로 늘어났지만 A 의원은 후원금으로 1억 원도 넘기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관계자는 “2009년 모금액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후원금 정산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라며 “지역 사무실 운영도 빠듯한 실정”이라고 전했다.
B 의원 후원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다선인 B 의원의 경우 매년 11월이면 법적 후원금을 다 채우고 ‘통장’을 닫아 버리는 등 나름대로 인기가 있었지만, 올 해는 미달 됐다. 이 후원회 관계자는 “그나마 다른 의원에 비해 선전했다고 자평하고 있지만, 의원 생활 중 처음 겪는 일”이라고 말했다.
C 의원실에선 “줄어든 후원금이 문제가 아니라, 국회의원들이 그동안 청목회 사건과 같은 방식으로 후원금을 모았다는 색안경을 끼고 보는 지역구민들이 늘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라며 “내년 총선을 어떻게 치를지 벌써부터 걱정이 된다”고 털어놨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그러나 지난해 연말과 올 연년 초를 맞는 의원들의 마음 한 편에선 ‘썰렁한 심정’을 지울 수 없다. 나름대로 정치활동의 ‘바로미터’라고 생각해 오던 정치후원금 통장에 지독한 찬바람이 불기 때문이다.
물론 원인은 알지만, 맥이 풀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더욱이 내년에 있을 총선을 생각하면 앞이 깜깜해진다.
예년에 비해 형편없을 정도로 정치후원금 통장 잔액이 줄어든 데는 지난해 10월 터진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입법 로비 의혹 사건이 터지면서부터다. 사건이 10만 원씩 내는 소액 후원금에서 발생했다는 점은 치명적이었다.
정치후원금 대부분은 의원의 지지자들이나 지인들의 10만 원 소액 후원금으로 채워져 왔다.
의원에게 후원하는 10만 원은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로 환급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의원들도 자연스럽게 후원금 지원을 부탁해 왔고, 지지자들도 별 부담 없이 후원금을 내 왔다. 하지만 청목회 로비 의혹 사건이 터지면서 소액 후원금이 대폭 줄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의원 지지자들이나 지인들이 후원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고 아예 연말에 보내던 정치 후원금 안내장을 포기한 의원실도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전의 A 의원 후원회 관계자는 “의원 사무실로 소액 후원금을 내면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전화나, 올해는 후원금을 보내지 않을 테니 양해해 달라는 전화가 많이 온다”라며 “이런 문의를 해 오는데 후원금을 내 달라고 독촉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문에 법적으로 허용된 연간 후원금이 평년의 두 배인 3억 원으로 늘어났지만 A 의원은 후원금으로 1억 원도 넘기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관계자는 “2009년 모금액의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후원금 정산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라며 “지역 사무실 운영도 빠듯한 실정”이라고 전했다.
B 의원 후원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다선인 B 의원의 경우 매년 11월이면 법적 후원금을 다 채우고 ‘통장’을 닫아 버리는 등 나름대로 인기가 있었지만, 올 해는 미달 됐다. 이 후원회 관계자는 “그나마 다른 의원에 비해 선전했다고 자평하고 있지만, 의원 생활 중 처음 겪는 일”이라고 말했다.
C 의원실에선 “줄어든 후원금이 문제가 아니라, 국회의원들이 그동안 청목회 사건과 같은 방식으로 후원금을 모았다는 색안경을 끼고 보는 지역구민들이 늘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라며 “내년 총선을 어떻게 치를지 벌써부터 걱정이 된다”고 털어놨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