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칼슘이 여기 저기 흩어져 있어서 얼마 남았는지 파악이 안 됩니다. 담당 국장님은 집안 일 때문에 연가 중이고요, 과장님은 편찮으시고, 계장님은 퇴직하셨는데요.”
지난달 발생한 기습한파와 폭설로 대전지역은 순식간에 교통지옥으로 돌변했지만 대전시와 5개 자치구 간 엇박자로 그동안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구입한 제설장비는 힘 한번 쓰지 못하고, 고철신세를 면치 못했다.
기상이변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지만 대전지역 자치단체들의 방재 대책은 매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실제 대전시가 지난달 29일 4개반·21명으로 구성된 긴급 점검반을 편성, 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폭설대비 현장 대비태세’ 일제 점검을 실시한 결과, 자치단체들의 방재 준비는 '0'점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달 28일 내린 폭설 시 한 자치구의 경우 담당 국장과 과장, 계장 등이 모두 휴가 중이거나 자리를 비워 지휘체계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고, 인근 군부대나 경찰 등 유관기관들과의 협조 체제도 대부분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등 비상대응체계가 먹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상청은 올해 겨울철에 기상이변에 따른 폭설을 예고했지만 대전지역 자치구들은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염화칼슘, 모래주머니, 소금 등의 제설자재를 사전에 구매하지 않아 현재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우선 동구의 경우 살포기 등 제설장비 8대 중 2대가 고장 난 상태며, 자재수불대장 관리가 안 돼 염화칼슘 재고량 파악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구는 올해 염화칼슘을 확보하지 못해 시 지원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설해대책부서 담당 공무원들이 전부 부재 중으로 지난달 28일 폭설 당시 담당 국장은 연가, 과장은 병가, 담당 계장은 퇴직한 상태로 비상근무체계가 형식적으로 운용되고 있었다.
서구는 염화칼슘과 모래주머니가 부족하고 구와 동 간 업무연계성이 떨어졌으며, 대덕구는 주요 제설장비인 덤프트럭과 굴삭기를 임대 사용하면서 폭설 시 즉각 대처를 하지 못했던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시 감사관실 관계자는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즉시 시정 조치할 것을 소관부서에 통보했고, 앞으로 시정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민들은 “불과 몇 ㎝의 눈에도 설설 기는 대전시에 과연 ‘재난 대처 능력’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지난달 발생한 기습한파와 폭설로 대전지역은 순식간에 교통지옥으로 돌변했지만 대전시와 5개 자치구 간 엇박자로 그동안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구입한 제설장비는 힘 한번 쓰지 못하고, 고철신세를 면치 못했다.
기상이변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지만 대전지역 자치단체들의 방재 대책은 매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실제 대전시가 지난달 29일 4개반·21명으로 구성된 긴급 점검반을 편성, 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폭설대비 현장 대비태세’ 일제 점검을 실시한 결과, 자치단체들의 방재 준비는 '0'점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달 28일 내린 폭설 시 한 자치구의 경우 담당 국장과 과장, 계장 등이 모두 휴가 중이거나 자리를 비워 지휘체계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고, 인근 군부대나 경찰 등 유관기관들과의 협조 체제도 대부분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등 비상대응체계가 먹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상청은 올해 겨울철에 기상이변에 따른 폭설을 예고했지만 대전지역 자치구들은 예산부족 등을 이유로 염화칼슘, 모래주머니, 소금 등의 제설자재를 사전에 구매하지 않아 현재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우선 동구의 경우 살포기 등 제설장비 8대 중 2대가 고장 난 상태며, 자재수불대장 관리가 안 돼 염화칼슘 재고량 파악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구는 올해 염화칼슘을 확보하지 못해 시 지원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설해대책부서 담당 공무원들이 전부 부재 중으로 지난달 28일 폭설 당시 담당 국장은 연가, 과장은 병가, 담당 계장은 퇴직한 상태로 비상근무체계가 형식적으로 운용되고 있었다.
서구는 염화칼슘과 모래주머니가 부족하고 구와 동 간 업무연계성이 떨어졌으며, 대덕구는 주요 제설장비인 덤프트럭과 굴삭기를 임대 사용하면서 폭설 시 즉각 대처를 하지 못했던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시 감사관실 관계자는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즉시 시정 조치할 것을 소관부서에 통보했고, 앞으로 시정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민들은 “불과 몇 ㎝의 눈에도 설설 기는 대전시에 과연 ‘재난 대처 능력’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