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북지역 국회의원들은 충북이 지향해야 할 미래성잔산업으로 오송바이오밸리의 생명산업, 첨단 IT산업 등을 꼽았다.
충청투데이가 2011년 신년 특집으로 충북지역 국회의원 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7명의 의원이 ‘충북의 미래성장 산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와 오창과학단지를 중심으로 한 IT·BT산업’이라고 답했다.
정범구 의원은 "충북의 발전메카로 떠오르고 있는 오송·오창지역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은 충북을 우리나라와 아시아 전역의 건강 및 보건의료산업의 발전 허브로 만들 것”이라고 했고, 송광호 의원은 “바이오 산업 등 첨단 미래산업과 관광, 휴양, 치유산업을 지향해야 한다. 첨단미래산업을 위해선 오송 KTX 역세권과 바이오밸리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 메디컬 허브 육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유치'라는 답변이 압도적이었다.
또 ‘인재양성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지역거점대학 육성과 지속적인 투자’라고 답했다.
‘남부지역 낙후로 제기에 따른 불균형 해소방안을 제시한다면’이란 질문에 변재일 의원은 “대청호 주변지역이 상수원보호구역이라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받고 있는데 주변경관을 활용한 관광·휴양·의료서비스 특구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공통질문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유치 무산 위기와 관련, 의원들은 ‘충청권의 결집’과 ‘법 개정을 통한 입지 명기’라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정계개편’에 대해, 설문에 응한 충청권 국회의원 21명 중 14명이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충북지역 8명의 국회의원 중 4명이 가능하다고 답했고, 나머지 2명은 ‘가능성 없다’에, 2명은 ‘모르겠다’고 했다.
대전·충남은 의원 13명 중 10명이 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충북 국회의원 4명을 대상으로 정계개편 시기를 다시 물어본 결과 올해(2011년) 하반기가 2명, 내년 상반기 1명, 내년 하반기 1명 순이었다. 한나라당이 본격 착수한 개헌 공론화와 관련해서는 상당수가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 개헌가능성과 시기, 방법 등에 대해선 견해차를 보였다.
노영민 의원은 “18대 국회는 보수세력의 과잉대표성으로 인해 여야간 합의가 아닌 원내1당과 보수연합에 의해 개헌이 주도될 수 있다. 개헌논의는 잠시 접고 민생에 주력해야 한다”고 했고, 윤진식 의원은 “개헌은 여야간 합의와 국민 동의가 전제돼야 가능하다.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고 내용 또한 다양하고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차기 대권 주자 중 당선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로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를 꼽았다.
설문에 참여한 충청권 21명 가운데 각각 5표 씩(복수 응답 인정)을 얻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의원들은 또 차기 총선과 대선의 화두로 ‘복지’와 ‘사회통합’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12명의 의원이 ‘복지’, 7명의 의원은 ‘사회통합’으로 답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