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흘러나고 있는 ‘정계개편’에 대해 충청권 국회의원들은 그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충청투데이가 2011년 신년호 특집으로 충청권 국회의원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한 의원 21명 중 절반이 넘는 14명(67%)이 ‘정계개편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대전지역 의원 5명 중 3명이 정계개편이 ‘가능하다’라고 답했고, 충남 의원 8명 중 7명은 가능성을 점쳤다. 한 명은 ‘모르겠다’고 했다. 충북 8명 의원 중에선 절반인 4명이 가능하다고 했고, 나머지 2명은 ‘가능성 없다’에, 2명은 ‘모르겠다’라고 답했다.

‘가능성이 있다’라고 응답한 충청권 의원을 대상으로 정계개편 시기를 다시 물어본 결과는 예의주시해 볼만 하다는 분석이다.

답변 가운데 ‘올해(2011년) 하반기’라는 답변(4명)과 ‘2012년 상반기’라는 답변(4명)이 가장 많았다. 올해 상반기(3명)와 2012년 하반기(3명)라는 응답도 상당수 있었다.

올해 하반기와 2012년 상반기는 19대 총선(2012년 4월)을 앞두고 선거 분위기가 급격히 상승한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변수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집권여당인 한나라당과 제1야당인 민주당 체제의 양 당 구도가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더욱 고착화 될 경우 정국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2012년 말로 예정된 대선에 뛰어들 잠룡들도 총선 선거에 직접 뛰어들어 진두지휘를 할 공산이 크다.

결국 양 당 체제를 무너뜨리고 힘의 균형 추를 기울여 정국 판도를 유리한 쪽으로 만들기 위해선 ‘정계 개편’이 유력한 돌파구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정치권에선 나오고 있다.

대권 후보를 중심으로 한 정치권의 이합집산이 진행될 가능성도 높다.

또 한 가지 주목되는 점은 영·호남으로 나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치 민심을 서울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선 충청도를 거쳐 가야 하는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다. 여기서 충청발(發) 정계개편 전망이 흘러나온다.

정국 흐름 속에서 보수대연합을 매개로 한 정계개편이나 또 다른 형태의 연대 등 충청정치권을 중심으로 화학적 결합이 진행될 소지도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원은 “소수 정당인 자유선진당 단독으로 총선과 대선이라는 큰 파도를 넘을 수 있을 것이라는 보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며 “어떤 식으로든 변신이나 변화가 일어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정계개편도 함께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