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수개월 동안 준비작업을 거쳐 ‘경영정상화방안’을 발표했지만 주민 반발을 염두에 둔 나머지 정리 사업장 명단이 빠져 있어 해당 사업지구 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특히 LH가 어떤 이유에선지 정리 사업장 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기존에 알려진 내용만 재언급하는 데 그치자 충북지역 신규 사업장 중 미보상사업지구 주민들은 허탈감에 빠진 채 불만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
지난달 30일 국토해양부와 LH는 전국 138개 신규 사업장 중 보금자리주택지구와 세종시, 혁신도시 등 국책사업을 제외한 대부분 사업장에 대해 시행자 변경, 지구 해제 및 철회, 사업 연기 및 축소 방침을 확정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설득 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충북은 대부분 사업지구가 취소되거나 축소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혹시라도 기대했던 해당 사업의 진행이 중단되거나 축소, 연기될 경우 토지 보상을 받지 못하게 되는 주민들의 반발이 고조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당 사업지구 주민들과 LH와의 주민 설득 과정에 심각한 난항이 예상되며 벌써 곳곳에서 마찰이 일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청주 모충2지구 주민대책위원회는 집행부가 이날 대책위 사무실에 모여 청주시와 LH 충북본부, 민주당 오제세 의원(청주 흥덕갑) 측에 협조를 요청해 빠른 시일 내에 합동으로 LH 본사를 항의 방문할 것을 논의했다.
이항성 모충2지구 주민대책위 위원장은 “LH가 자신들이 힘들다고 주민들만 죽으라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언제는 시와 LH가 주민들에게 사정을 해서 사업지구로 지정하더니 지금에 와서는 손을 떼겠다고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주민들은 차라리 민간 건설사와 손을 잡고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추진했더라면 이렇게 주민들이 고통받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청원군 현도면 현도 보금자리주택사업지구 주민들은 지난달 LH 충북본부로부터 사업이 4~5년 정도 늦어질 것이라는 말을 들은 후부터 이는 사실상 무산이라며 실의에 빠져 있다.
주민 오낙균 씨는 “수십 년 째 잘살고 있는 곳을 개발한다며 주민들을 혼란에 빠뜨렸다”며 “미래도 중요하지만 현재 살고 있는 주민들을 생각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LH가 도내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청원군 오창·내수2지구, 충주 안림지구, 진천광혜원2지구 등 미보상사업지구에서도 사업 시행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장기간 토지와 주택 등의 매매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여 일부 사업지구 주민들이 주택사업 취소를 요구하고 있다. 청주 동남택지개발지구도 토지 보상을 85% 이상 추진하며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신규 사업에 대한 재조정 작업이 어떻게 진행될 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