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선거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 문제가 해를 넘기면서 내년도 충청권 최대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국회는 지난 8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과학벨트법)을 의결했다. 과학벨트는 예산만 3조 원이 넘는 대형 프로젝트로 이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대선에서 충청권 입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그러나 과학벨트 건설의 근간이 되는 과학벨트법에는 충청권 입지가 명기되지 않았고 정부도 공모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둔 상황이어서 국회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은 변재일 교과위원장(충북 청원)이 충청권 입지를 명기한 새로운 과학벨트법 제정안을 국회에 이미 제출한 상황이며 자유선진당은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 대표발의로 당론에 입각한 개정 법안을 준비 중이다.

선진당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세종시 원안 사수와 같은 수준으로 처리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년 정국에서 과학벨트 문제가 ‘제2의 세종시 원안 사수’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야권이 이처럼 제정안과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빠르면 내년 초부터 이 문제가 국회에서 집중 거론될 전망이다.

다만 국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법안 심의는 2월 임시국회에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민주당과 선진당의 법안을 병합 심의해 국회 상임위안이 마련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미 법안을 단독 처리한 한나라당 의원들의 입장변화 등이 주목된다.

아울러 충청권 입지를 놓고 충청 정치권이 초당적 협력을 할지 아니면 정략적인 입장에서 접근할지도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과학벨트 입지 지정 문제가 내년도에 마무리 되지 않을 경우 충청권 최대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