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문화재단의 레지던스 프로그램 창작공간인 ‘한마음 아트존 갤러리’
한 해 지역문화계는 조용히 움직인 가운데 크고 작은 이슈들이 끊이질 않았다.

우선 대전문화재단이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과 문화향수 기회 확대 등의 임무를 띠고 창립, 다양한 국비 지원사업을 수행했다. 또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에서도 비수도권 지역이 소외되고 있어 수도권 편중 논란이 제기됐다.

이 밖에 지역 문화예술계의 두 축인 대전문화예술의전당과 시립미술관이 관장 채용 논란 등에 휩싸여 지역문화예술계 안팎에선 이를 둘러싼 비난이 높았다.


   
 
◆문화예술진흥기금 홀대

큰 열정을 품고도 지명도가 떨어져 설움을 겪던 지역 문화예술인들에게 올해 국비 예산 지원은 달가운 얘기였다.

소액다건으로 치부되는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기존 무대지원금과 지역문진금)’은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매년 목을 매는 대상이 되고 있다.

복권에 당첨되듯 지원이 결정되면 사업은 순조롭게 이뤄지지만, 그렇지 못하면 없던 일이 되는 것도 같은 이치다. 음악, 무용, 문학 등 거의 모든 장르가 그렇다. 그러나 문화예술진흥기금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서울집중 현상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3년 간 진흥기금의 지역별 집행현황을 보면 대전은 전국 16개 시·도 중 10위, 충북은 11위, 충남은 13위를 기록하는 등 충청권에 대한 진흥기금 집행실적이 매우 저조했다. 한 도시 문화의 크기는 그 도시 문화예산 크기와 거의 정비례한다. 실제 서울의 문예활동이 더 활성화 돼 있다면 그것은 단지 서울지역 문예인들의 문화적 역량이나 상상력이 더 크기 때문만은 아니다.

더 많은 예산이 지원되고 그 예산을 좇아 지방의 인재들이 서울로 더 많이 모였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대전문화예술계 관장자리 논란

올해 지역 문화예술의 수장이 잇따라 바뀌면서 자리를 둘러싼 크고 작은 논란이 제기됐다. 대전시립미술관장 임용시험 채용심사가 선발심사위원회 위원들 간에 의견 차이로 잠정 연기돼면서, 아예 심사를 하지 못하는 사태까지 빚었다.

또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은 타 지역출신 관장들이 전문성을 바탕으로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일부는 중도 사퇴하는 등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대전에서는 그동안 지역출신 인사가 드물었던 만큼 문화예술계 두 축인 대전시립미술관장과 대전문화예술의전당관장 자리에 이종협 관장과 임해경 관장을 각각 선임했다.

두 관장 선임에 따른 가장 큰 의미는 지역출신 예술인이면서 지역예술 흐름과 지역예술이 넘어야 할 벽에 대해 분명한 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 지역출신 신임 관장들로써 문화예술계 전체를 포용해 한 단계 높이 발전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대전 문화재단에서 주관한 레지던스 프로그램 중 ‘대전·청주 레지던스 작가 교류전 닮음과 다름전’
◆대전문화재단 출범 후 1년

지난해 출범한 대전문화재단이 지난 11월 설립 1년을 맞았다. 대전문화재단은 조직 규모나 운영기간에서 아직 시작하는 단계에 있어 실질적 성과나 효과를 판단 하기에는 이르다.

하지만 재단을 운영하기 위해 문화정책 결정과 예산지원 방식에서 지역 문화계의 의겸수렴 과정을 동반해 소통이 이뤄졌다는게 지역 문화계의 평가다.

또 문화재단 설립 과정에서 나타난 대표이사를 비롯한 이사진 구성이 타 지역 문화재단과 큰 차이를 보여 문제가 일기도 했다. 최근 민선 5기 출범 이후 대부분 이사진들이 사표를 제출해, 재단은 이사진을 지역 문화예술계 관계자로 새롭게 구성했다.

대전문화재단의 성과는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과 레지던스 프로그램이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운영 결과 예술위원회로부터 모범사례로 채택됐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소외된 아동·청소년들에게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보다 나은 삶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