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내 첫 우라늄 채굴이라는 시험대에 오른 금산 우라늄광산 문제는 가장 큰 예상 피해자가 바로 150만 대전시민이될 수 있다. 우라늄광산이 개발될 경우 유등천과 대전천을 통해 오염물질이 중간 여과 장치 없이 그대로 대전으로 유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우라늄광산 개발에 대한 협상 대상자는 금산군 만이 아니라 150만 대전시민이 되어야 한다”
대전 유성구의회 윤종일 의장은 “유성은 몇 년 전 원자력 연구소 폐기물 문제로 홍역을 치른 경험이 있고, 최근에도 석면 관련 공장 근로자들이 심각한 휴유증에 시달린 사실이 있다”며 “금산 우라늄광산은 홍성의 석면광산 피해보다 수십배의 위험성을 안고 있어 더욱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우라늄광산에 대한 유성구의회의 견해에 대해 윤 의장은 “지식경제부의 행정소송에서 안정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안전성 확보가 없는 상태에서 자원의 효율성만을 내세우기 보다는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150만 대전시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의장은 “이번 문제를 금산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말고 대전 전체의 문제로 인식, 확장시켜 대책을 강구하고 논의할 수 있는 여건를 만들어야 한다”며 “눈 앞에 이익을 위해 주민들에게 영원히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는 정책에 대해서는 의회 차원에서 강력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성구의회의 ‘우라늄 채광인가 반대 건의문’ 채택에 대해 윤 의장은 “의원 전체가 공감을 하고 있어 반대 건의문 채택이 어렵지 않게 이루어졌다”며 “앞서 말했듯 원자력연구소 폐기물 문제와 석면 공장 문제로 인해 유성구는 원자력 관련 사항에 대해 민감해 있었고 의원들도 구민들의 여론을 잘 수렴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윤 의장은 “기업의 이익이나 자원 활용에 대한 검토에 앞서 주민들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 만큼 안전성 보장이 우선돼야 한다”며 “지식경제부가 주민의 안전과 더나가 국민 모두가 동감할 수 있는 현명한 판단을 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혁수 기자 kdkd67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