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자치단체들이 폐쇄형 인사시스템을 고집하면서 인사의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민선5기 출범과 동시에 전국적으로 토착비리, 단체장의 인사권 전횡, 불·편법적인 행정처리 등이 폐쇄형 인사제도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지만 대전지역 기초자치단체 간 인사교류는 미미한 반면 시 편입을 희망하는 공직자는 러시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행정안전부, 대전시, 5개 자치구 등에 따르면 정부는 자치단체 간 협의를 거쳐 지정한 교류직위에 대해 최적격자를 선발해 이번 연말 정기인사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인사지침을 밝혔다.

행안부는 이를 위해 자치단체 간 인사교류 활성화를 위해 지난 4월 4~6급 직위 20% 범위에서 교류직위를 지정·운영하도록 지방공무원임용령을 개정한 데 이어 지방공무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교류대상자에게는 인사상 혜택(교류가점)과 경제적 인센티브(교류수당)를 부여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그러나 대전의 경우 시에서 자치구로 전출을 희망하는 공무원은 극소수에 불과한 반면, 구에서 시로 넘어오려는 희망자는 넘치는 등 자치구 공직자들의 엑소더스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실제 오는 29일 실시되는 민선5기 대전시 첫 전입시험을 앞두고, 6~8급 80명 선발에 모두 159명이 응시해 평균 2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6급 공무원의 지원은 평이한 반면 7·8급 공무원은 평균 2.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최근 3년 간 7·8급 전입시험 평균 경쟁률은 지난 2008년 4.25대 1에서 지난해 1.92대 1, 올해 2대 1 등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는 동구가 37명으로 1위, 뒤를 이어 중구 33명, 서구 35명, 유성구 22명, 대덕구 3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입시험을 준비하는 공무원들은 때아닌 ‘열공모드’로 돌입, 학구열을 불태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자치구 공무원들의 ‘탈(脫)구청 러시’는 승진적체로 인한 박탈감과 열악한 근무여건, 단체장들의 전횡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시 본청에서 근무하는 것이 승진도 빠르고, 초과근무수당, 복지카드 등 모든 면에서 좋기 때문에 전입을 희망하는 공직자들이 많다”고 전제한 뒤 “젊고, 열심히 일하려는 공무원들이 전부 시로 가면 구정 운영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