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가 22일 제192회 제2차 정례회 5차 본회의를 끝으로 올해의 모든 일정을 마감했다.
지난 6·2 지방선거를 통해 7월 초 기대와 우려 속에서 출범한 제 6대 대전시의회가 보여준 6개월가량의 의정 활동은 ‘평균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는 평가다.
26명의 의원 가운데 19명이 초선의원이란 점에서 경륜과 전문성 부족 등의 우려가 제기됐지만, 재선 의원들의 중심축 역할과 초선의원들의 활동성이 어우러지면서 ‘할 일은 했다’라는 것이 중론이다.
의회 출범 이후 86일 간의 의사일정 동안 대전시세 감면 조례 등 시민 부담을 가중시키는 조례 70건을 제·개정했고, 예산·결산 14건, 동의·승인 12건, 건의·결의 7건, 기타 7건 등 110건의 의안을 처리했다.
행정사무감사 기간에는 직접 관련 시민을 찾아가 만나는 등 책상을 벗어나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노력을 펼쳤고, 사회적 약자 및 지역균형 발전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위한 발달장애인 지원조례 및 도시균형발전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드는 등 시민 밀착형 조례 제·개정 노력도 펼쳤다. 또 대전의정발전발전연구회 등 4개의 연구회를 구성해 지역 현안을 주제로 세미나 및 정책토론회 등을 21차례 여는 등 ‘공부하는 의회’를 만드는 노력을 했다.
이 밖에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배제 움직임에 맞선 규탄 결의문을 채택 하고, 유성지역의 열악한 치안환경 개선을 위해 유성경찰서 신설 촉구 건의문을 채택·건의하는 등 적절한 시점에 지역의 현안문제의 흐름을 읽고 대처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기관 대 기관의 갈등 관계에서 시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조정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일부 의원들의 불미스러운 행동으로 언론의 도마 위에 오르는 등 개선점도 많았다.
학교무상급식과 관련해 대전시가 시교육청과의 협의도 마치지 않고 시 몫의 예산 40억 원을 먼저 상정해 논란이 발생했지만, ‘조정과 중재 역할’을 제대로 해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학교무상급식 강행을 주장하는 염홍철 대전시장과 이를 반대하는 김신호 시교육감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릴 때 시의회가 주도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와 함께 시와 시교육청에 대한 행정감사 기간 동안 사전준비 부족으로 날카롭지 못한 지적을 한다거나, 집행부의 불성실한 답변 등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 것도 고쳐야 할 부분이다.
또 시의원이 자신 소유의 건물에 SSM(기업형 슈퍼마켓)을 입점 시켜 주변 영세상인들로부터 비난을 사는 오점을 남겼다.
이상태 시의회 의장은 “의정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미비점을 철저히 분석해 잘못된 점은 과감히 보완하고 개선해 내년에는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의정활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