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홀대 3년간 울다

2010. 12. 22. 00:59 from 알짜뉴스
    

지난 19일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 3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2007년 12월 19일 대통령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여유 있게 승리한 이 대통령은 당시 ‘국민 성공시대’를 약속했다.

지난 3년을 되돌아 볼 때 다른 지역은 차치하더라도 충청권에서 만큼은 ‘성공시대였다’라고 하기 보단 그 반대의 시대였다라는 평가다. 이명박 정부가 유독 충청권에게만 ‘무원칙 갈지자 정책’을 펴며 상처를 줘 왔기 때문이다.

우선 정부는 지난 2008년 이 대통령의 지역 7대 핵심공약 중 하나인 ‘국립현대사박물관 대전 유치’ 약속을 뒤집고, 서울에 건립키로 결정해 대전지역민의 공분을 샀다.

다음해인 2009년 9월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왔고, 국정 자체가 흔들릴 정도의 전국적인 혼란을 야기했다. 비록 수정안은 국회에서 부결돼 ‘없던 일’로 됐지만, 정부에 대한 충청인의 불신은 극에 달한 상태다.

세종시 논란의 상처가 아물지도 않은 상황에서 이번엔 대통령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마저 무산 위기에 처하게 됐다.

이처럼 대통령 공약(公約)들이 연이어 공약(空約)이 되는 것을 목도한 충청인은 또 다시 심각한 민심이반과 함께 ‘충청권 홀대론’까지 고개를 드는 형국이다.

지역정가에선 과학벨트 논란이 자칫 정부에서 세종시 수정안 강행 당시에 나타났던 충청민의 ‘집단 저항’을 재현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충청권 분위기로 볼 때 저항은 이런 움직임은 이미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충청지역 정치권뿐만 아니라 3개 시·도 광역단체가 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시민사회단체들도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라는 이 대통령의 공약을 지킬 것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염홍철 대전시장과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등 충청권 3개 시도지사는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통해 세종시, 대덕연구개발특구, 오송·오창의 BT·IT 산업단지를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발전시켜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의 공약 사업을 지키라고 촉구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 등 당 지도부는 21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직접 불러 ‘공약을 어기면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하는 등 압박에 나섰다.

민주당 변재일 의원(충북 청원·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은 ‘과학벨트특별법’에서 빠져 있는 지역 명기 부분을 ‘충청권 및 그 인근지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을 거점지구로 지정’하도록 적시한 개정안을 22일 발의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민주당 충남도당은 이날 행정도시 건설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공약 이행 차원의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촉구키로 하는 등 반발은 확산되고 있다.

선진당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대통령이 국민과 한 약속은 국정운영의 중심이 될 정도로 중요하며 반드시 지켜야만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받을 수 있다”라며 “임기 후반기로 접어든 대통령이라면 무엇보다도 약속을 지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퇴임 후 ‘약속 파기 대통령’, ‘약속 흔들기 대통령’이라는 국민들의 비판과 심판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국립현대사박물관 무산 당시 분명한 입장 표명조차 못했고, 세종시 수정 논란 당시에는 정부의 입장을 두둔하거나 찬성에 앞장선 지역 오피니언 리더들도 있었다”라며 “충청인으로서의 당연한 권리를 찾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선 스스로도 자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