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현안사업 중 상당수는 추진이 불투명한 상태에 놓인 반면 일부는 장밋빛 전망으로 엇갈리고 있다.
먼저 충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왔던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정부의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에 신규 지정에 불리한 조항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충분한 국내외기업 입주수요 확보, 개발의 경제성, 자금조달계획의 실현 가능성 등 지정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관련 용역비 1억 원을 확보해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 내년 상반기 신규 지정 평가에 대비하기로 했다.
또 도는 평가에 대비해 정부의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주민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경주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신규 지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불투명한 상태다.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무산되면 오송지역의 바이오관련 외국의 연구시설, 교육시설 등의 유치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관련법 개정으로 어려운 국면에 있기는 하지만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지정이 어려워지면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등 대안을 모색해 외자 유치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음성태생국가산업단지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도 이런저런 이유로 결정이 늦어지는 등 지역의 일부 주요현안들이 표류하고 있다.
반면에 청주국제공항 활성화와 민영화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청주국제공항 북측진입로 개설과 활주로 연장과 관련된 정부예산을 확보하면서 오랜 지역의 숙원사업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
활주로 연장 사업은 청주국제공항 개항 이후 지역에서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했으나 추진되지 않다가 내년 예산 기본설계비를 반영했다.
여기에 천안~청주공항 수도권전철 연장사업이 국토해양부의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안'에 포함됐다.
이같이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관련 예산 확보와 정부 정책에 반영되면서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주장했던 ‘先 활성화 後 민영화’를 어느 정도 충족시킨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조만간 구체적인 절차를 밟게 될 청주국제공항의 민영화 추진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특히 청주국제공항 민영화에 참여할 기업도 국내외에서 3~4곳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한 항공정비(MRO)사업 유치도 국토해양부와 공군과 협의해 부지를 마련했다. 외자 유치를 위해 싱가포르 STA사 등 글로벌 MRO 서비스와 항공기술 R&D업체를 대상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활성화 대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도의 입장이 활주로 연장 기본설계비 확보 등으로 어느 정도 충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청주공항은 다른 지방공항보다 경쟁력이 높은 만큼 여러 업체가 민영화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