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곰팡이인 케토미움에서 분비되는 항생물질 케토신이 암의 혈관형성을 차단해 간암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의대 박종완 교수가 흙 곰팡이에서 분비되는 케토신이 직접 간암 세포를 사멸하지는 않지만, 암조직의 단백질(히프원, HIF-1)과 혈관들을 사멸시켜 궁극적으로 간암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간암을 이식시킨 생쥐에 케토신을 투여해 간암 성장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케토신이 정상세포에는 반응하지 않고 간암 세포에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밝혀내고, 차세대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이에 따라 케토신이 기존의 약물과 전혀 다른 히프원 단백질 억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항암 치료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간암은 우리나라 5대 암 중 하나로 다른 암과 달리 바이러스 감염이나 음주로 인해 발병하는데, 별다른 증상이 없어 대부분 암 말기에 발견돼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사들은 간암 말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 항암, 호르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환자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키거나 완치하는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약물을 섞어서 투여하는데, 서로 다른 작용을 하는 약물들을 사용해야 항암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이번에 발견된 케토신이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의대 박종완 교수가 흙 곰팡이에서 분비되는 케토신이 직접 간암 세포를 사멸하지는 않지만, 암조직의 단백질(히프원, HIF-1)과 혈관들을 사멸시켜 궁극적으로 간암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간암을 이식시킨 생쥐에 케토신을 투여해 간암 성장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케토신이 정상세포에는 반응하지 않고 간암 세포에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밝혀내고, 차세대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이에 따라 케토신이 기존의 약물과 전혀 다른 히프원 단백질 억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항암 치료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간암은 우리나라 5대 암 중 하나로 다른 암과 달리 바이러스 감염이나 음주로 인해 발병하는데, 별다른 증상이 없어 대부분 암 말기에 발견돼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의사들은 간암 말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 항암, 호르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환자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키거나 완치하는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약물을 섞어서 투여하는데, 서로 다른 작용을 하는 약물들을 사용해야 항암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이번에 발견된 케토신이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