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산 우라늄광산 개발은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환경적 피해는 물론 인삼·약초 재배와 아름다운 자연경관 등으로 형성된 친환경적 이미지를 훼손해 금산지역 경제를 송두리째 무너뜨릴 것이다”, “이는 곧 금산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군민들의 생존권을 짓밟는 일이며 금산을 황폐화시키는 처사다”
금산군의회 김복만 의장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특산품인 인삼의 80%가 유통되고 전국 최고의 깻잎이 생산되는 금산에 우라늄광산이 개발될 경우 어느 누가 금산 농산물을 먹겠냐”며 “이는 곳 금산의 경제, 산업, 주민 생존권 등 모든 것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지난 2007년 우라늄광산 개발 신청지에 조그마한 사찰을 짓기 위한 터파기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광산물질로 인해 인근 하천과 지하수가 오염돼 아직도 복구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대규모 우라늄광산이 개발될 경우 침출수로 인한 하천과 지하수 오염은 물론 분진 등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올 것”이라고 피력했다.
우라늄광산 개발 반대를 위해 군의회 7명의 의원들과 함께 주민들이 보는 앞에서 단체삭발을 감행한 김 의장은 “우라늄광산 개발에 따른 피해는 금산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금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대전의 유등천과 갑천으로 이어지고 대청댐으로 흘러들어간다면 150만 대전시민과 옥천군 등 인근 지역까지 우라늄광산의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현재 옥천군의회와 대전 5개 구의회(동·중·서·대덕·유성구)가 결의문을 채택했고, 충남도 16개 시·군의장협의회가 서면 동의서를 작성, 지경부에 제출했다”며 “충남도 전체가 긴밀한 협조와 공조를 통해 이번 사태를 잘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우라늄광산은 국내에서 사례가 없을 뿐더러 피해대책도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아, 국제적인 안전성이 보장될 때까지 인가가 유보되야 한다”며 “지식경제부 행정심판(광업조정)위원회는 광산업자의 행정소송에 대해 기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산=김혁수 기자 kdkd67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