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 도정홍보 전략이 전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안희정 충남지사가 민선 5기의 화두로 ‘소통과 대화’를 강조했지만 현재 충남도의 대(對) 도민 홍보수준으로는 쌍방향 의사전달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충남도의 대표적 홍보 전략중 하나인 ‘도정신문’은 일방적인 전달체계만 있을뿐 신문의 활용과 인지도 등에 대한 자체적인 조사체계도 전무한 상태다.
또한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인 트위터 등 사회적 네트워크시스템(SNS)을 통해 도민과 의견교환을 강화하겠다는 도의 전략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해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도정신문의 일방향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인 SNS를 활용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보강하는 등 대(對) 도민 홍보활동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도는 지난 1990년 도정신문을 창간하며 충남도민의 목소리를 한곳으로 모으고 도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텃밭을 일구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이를 위해 도는 도정신문조례를 제정해 홍보전문가를 영입하고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판 도정소식지’와 해외홍보를 위한 영문잡지 등을 잇따라 창간하는 노력을 보여왔다.
창간 20주년이 되는 올해에는 매월 3차례에 거쳐 총 25만 부 가량의 도정신문을 발행해 우편과 택배로 도내 곳곳에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에 대한 효과 및 도민의 인식 조사 등은 지난 97년부터 겨우 3차례 실시돼 일방향적인 소통구조에 매몰됐다는 비난이다.
이와 함께 도내 16개 시·군이 각자 홍보물을 발간하며 도정신문과 중복되는 비효율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는 앞서 ㈜KT와 IT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 등 SNS 기반시설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트위터 및 SNS 관련 전문인력이 모자라 실질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도정신문의 효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도내 각 시·군에서 발간하는 홍보물을 점검해 중복되는 기능을 통합·운영할 수 있는 조직개선과 SN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도는 “민간 전문인력을 추후 보강하는 등 효과적인 미디어체계를 만들어 가겠다”며 “SNS를 전문화 하고 도민의 도정참여를 높이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안희정 충남지사가 민선 5기의 화두로 ‘소통과 대화’를 강조했지만 현재 충남도의 대(對) 도민 홍보수준으로는 쌍방향 의사전달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충남도의 대표적 홍보 전략중 하나인 ‘도정신문’은 일방적인 전달체계만 있을뿐 신문의 활용과 인지도 등에 대한 자체적인 조사체계도 전무한 상태다.
또한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인 트위터 등 사회적 네트워크시스템(SNS)을 통해 도민과 의견교환을 강화하겠다는 도의 전략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부족해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도정신문의 일방향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인 SNS를 활용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보강하는 등 대(對) 도민 홍보활동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도는 지난 1990년 도정신문을 창간하며 충남도민의 목소리를 한곳으로 모으고 도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텃밭을 일구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이를 위해 도는 도정신문조례를 제정해 홍보전문가를 영입하고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판 도정소식지’와 해외홍보를 위한 영문잡지 등을 잇따라 창간하는 노력을 보여왔다.
창간 20주년이 되는 올해에는 매월 3차례에 거쳐 총 25만 부 가량의 도정신문을 발행해 우편과 택배로 도내 곳곳에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에 대한 효과 및 도민의 인식 조사 등은 지난 97년부터 겨우 3차례 실시돼 일방향적인 소통구조에 매몰됐다는 비난이다.
이와 함께 도내 16개 시·군이 각자 홍보물을 발간하며 도정신문과 중복되는 비효율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는 앞서 ㈜KT와 IT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 등 SNS 기반시설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트위터 및 SNS 관련 전문인력이 모자라 실질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도정신문의 효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도내 각 시·군에서 발간하는 홍보물을 점검해 중복되는 기능을 통합·운영할 수 있는 조직개선과 SN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도는 “민간 전문인력을 추후 보강하는 등 효과적인 미디어체계를 만들어 가겠다”며 “SNS를 전문화 하고 도민의 도정참여를 높이기 위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