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공공과 민간분야의 복지서비스를 통합·관리하고, 민·관 협치의 지역형 복지인프라를 구축할 '대전복지재단'이 내년에 본격 닻을 올린다.
대전시는 새로운 복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민·관협치의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수요자별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통합 운영을 위해 '(재)대전복지재단'을 내년 하반기까지 설립키로 하고, 16일 시청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될 복지재단의 설립자산은 출범 시 95억 원(사회복지기금 57억 원, 사회복지회관 임차금 38억 원)으로 시작해 오는 2021년까지 180억 원을 적립한다는 목표다.
복지재단의 주요 기능으로는 설립초기 민·관협치의 복지만두레를 운영해 민간 중심의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민·관 복지네트워크의 통합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복지시설 및 기금을 관리하고 민간복지의 총괄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복지재단의 운영예산 추정치는 연간 10억 원(인건비 4억 5000만 원, 회관 운영비 5억 5000만 원)으로 재단운영비는 자립기반 구축 시까지 일반회계에서 지원되며, 재단주관 사회복지회관은 원도심지역 공실 빌딩을 활용할 예정이다.
윤태희 시 복지여성국장은 “21세기의 복지행정은 공공과 민간영역과의 조화가 관건이다. 대전복지재단은 사회복지의 실제 업무를 수행, 담당한다고 볼 때 시급하고, 시의적절한 기구”라고 강조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새로운 복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민·관협치의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수요자별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통합 운영을 위해 '(재)대전복지재단'을 내년 하반기까지 설립키로 하고, 16일 시청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될 복지재단의 설립자산은 출범 시 95억 원(사회복지기금 57억 원, 사회복지회관 임차금 38억 원)으로 시작해 오는 2021년까지 180억 원을 적립한다는 목표다.
복지재단의 주요 기능으로는 설립초기 민·관협치의 복지만두레를 운영해 민간 중심의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민·관 복지네트워크의 통합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복지시설 및 기금을 관리하고 민간복지의 총괄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복지재단의 운영예산 추정치는 연간 10억 원(인건비 4억 5000만 원, 회관 운영비 5억 5000만 원)으로 재단운영비는 자립기반 구축 시까지 일반회계에서 지원되며, 재단주관 사회복지회관은 원도심지역 공실 빌딩을 활용할 예정이다.
윤태희 시 복지여성국장은 “21세기의 복지행정은 공공과 민간영역과의 조화가 관건이다. 대전복지재단은 사회복지의 실제 업무를 수행, 담당한다고 볼 때 시급하고, 시의적절한 기구”라고 강조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