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라운드가 시작됐다’

대전 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지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공조체제를 구축했다.

이로써 지난 6·2 지방선거 직후 추진된 이른바 ‘세종시 공조’에 이어 또 다시 3개 시·도 지사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목표로 역량을 결집한 셈이다.

충청권 시·도지사의 공조는 최근 과학벨트를 둘러싼 지자체 간의 유치경쟁이 과열되는 양상에서 자칫 충청권 입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과학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이 충청권을 겨냥해 제시한 대선공약으로 무리 없이 충청권에 입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세종시 수정안 부결 이후 정부는 과학벨트의 원점 재논의 의사를 노골화했다.

특히 지난 8일 통과된 과학벨트 특별법에 충청권 입지를 명시하지 않아 각 지자체들은 과학벨트를 향해 불나방처럼 달려들고 있는 형국이다.

경기도는 접근성과 연구 인프라를 앞세워 유치 의사를 밝혔고, 광주시는 국토균형발전 가치를 필두로 지자체 중 처음으로 유치제안서를 제출했다.

여기에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의 지역구인 포항은 4세대 방사성광가속기 구축예산 통과를 무기로 입지를 주장하는 등 과학벨트를 둘러싼 지자체들의 난전은 이미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충청권 3개 시·도 지사는 공조를 통해 500만 충청민의 여론을 결집시켜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재확인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이 대통령이 과학벨트를 충청권 핵심 대선공약으로 제시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실천이 동반돼야한다는 ‘책임론’ 측면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이미 지난 ‘세종시 공조’를 통해 드러난 충청권 3개 시·도 협력이 ‘세종시 설치법 통과’라는 가시적 성과를 수확한 점에 미뤄 과학벨트 공조도 충분한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다.

이와 함께 자유선진당 출신 염홍철 대전시장, 민주당 출신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시종 충북지사의 연대는 정부뿐만 아니라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에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한나라당에 대한 강력한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