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수도 청주'를 모토로 출범한 민선5기 청주시는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며 전대와의 차별화를 선언했다. 특히 민선4기 동안 소통부재로 인한 독선행정에 불만이 컸던 청내 공무원들에게 합리적 행정을 추구하는 한범덕 시장의 행보는 더욱 큰 기대를 모았다.
한 시장은 취임 초기부터 시 산하 5급 이상 간부공무원 100여명이 모두 모아놓고 조직 및 인사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난상토론을 벌이는가 하면 매주 7급 이하 공무원들과 아침식사 자리를 마련해 속깊은 대화를 나누는 등 색다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 같은 소소한 행보 하나하나에 변화감을 안겨준 것과는 달리 실제 시정의 큰 틀을 결정짓게 하는 선택에 있어선 다소 실망감을 안겨줬다.
실례로 첫 인사결과 선거과정에서 한 시장 측에 선 인사들이 인사상 특혜를 받는 일이 반복되면서 '논공행상' 논란이 빚어졌다. 또 시민 참여형 시정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겠다는 취지로 각종 현안사업에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토록 한 점은 또다른 부작용을 초래했다.
기본적인 잣대 없이 의견수렴 과정에서 업무추진 방향이 갈팡질팡 하다보니 실무선에서 혼란이 발생하는 일이 빈번했던 것. 결국 지나친 외부 의견수렴은 공무원들을 실무능력과 관계없이 ‘피동적’으로 만드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내년도 예산이 예년보다 8% 가까이 감소되면서 불거진 재정난 문제는 당분간 청내 안팎의 불안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2011년 예산이 올해 당초예산(1조 51억 원) 대비 796억 원이 감소된 9255억 원으로 편성되면서 내년도 각종 사업의 대폭 축소가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실제 체감하는 예산 감소폭은 더욱 커 시가 자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가용예산이 2000억 원에도 못미치며, 이같은 재정난의 완전한 해소를 위해선 2~3년이 소요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민주당시의원들이 한나라당 의원들과의 갈등 속에서 ‘예산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하며 재정난 원인규명을 위한 ‘예산조사특위’ 구성을 강행해 향후 조사결과에 따라 또다른 진통이 우려된다.
대외적으론 지역 최대 현안사업인 청주·청원통합과 관련해 이시종 지사와 한 시장, 이종윤 청원군수 등 3개 단체장이 ‘청주·청원통합 추진 합의문’에 서명하면서 통합에 대한 새로운 물꼬를 텄다.
이들은 합의문을 통해 ‘오는 2012년까지 통합준비 작업을 마무리 짓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자율적 통합을 민선5기에 이룰 수 있도록 추진한다’고 선언했다.
또 시는 4년만에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를 재개하고, ‘실천가능사업’ 18개를 공동 추진키로 하는 협약을 체결하는 등 통합작업에 적극 나가고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