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새해 예산안을 강행 처리한 것과 관련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 자성론이 대두되는 등 혼란스런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번 예산안 강행 처리 과정에서 나타난 청와대와 당간의 관계 설정에 대한 당 지도력 부재를 들어 당 지도부 개편 목소리가 있는 반면 지도부 개편이 해결책이 아니다라는 입장도 개진되고 있다.

친박(친 박근혜)계 이혜훈 의원은 15일 예산안 강행 처리와 관련 “미숙했던 부분들이 속속 드러나는 걸로 보이기 때문에 이대로 묻어 두기는 어렵다는 생각”이라며 “이번 예산처리가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는 여야가 생각이 비슷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어떤 방식이든 조정이 있어야 한다”며 “우선 2조 5000억 원이나 되는 예비비와 국회 동의를 받지 않고 주무부처 장관 승인으로 쓸 수 있는 기금을 통해 빠진 예산 등을 해결한 후 추경예산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아랍에미레이트 파병안의 한나라당 단독 처리에 대해 “위헌 시비까지 이는 어려운 문제여서 사실 반대하고 싶은 심정이었다”며 “이를 상임위나 본회의에서 한번도 논의하지 않고 단독 강행 처리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웠다”고 강조했다.

중도개혁성향인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 21’은 이날 모임을 갖고 지도부 책임론 보다는 자성의 입장을 밝혔다. 민본 21 공동간사인 김세연 의원은 “(이날 모임은)지도부 인책 요구가 근본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에서 논의를 출발해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며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사람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