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강철은 ‘동양아루샤시’를 앞세운 국내 1위 ‘알루미늄 섀시’ 업체다. 국내 1위 알루미늄 압출 업체로 잘 알려진 동양강철은 최근 신소재업체로의 변신에 성공, 향후 성장이 주목되고 있다. 설립 이후 건축 자재 '알루미늄 샤시'를 주력 생산해 온 동양강철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알루미늄 LCD 프레임 개발에 성공했다. 현재 동양강철은 삼성전자에 LCD TV용 프레임과 LED TV 엣지바를 독점 공급 하고 있다. LCD·LED TV용 알루미늄 소재는 기존 아연 도금강판 소재 보다 가볍고, 원가 경쟁력과 방열성이 뛰어나다. 또 지난 5월 삼성중공업과 'LNG 선박용 알루미늄 구조물' 구매 확약 MOU를 체결한 바 있어 오는 2013년 LNG 선박용 알루미늄이 양산되면 신소재 업체로서 제2의 도약기를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양강철의 새로운 변신을 이끌어낸 박도봉 동양강철 회장을 만나봤다.

   
▲ 박도봉 동양강철 회장은 “알루미늄 압출 분야에서는 국내 톱클래스의 소재기업이 됐음을 자부하고 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알루미늄 첨단 신소재 분야에서도 세계 톱클래스 기업으로 거듭나 세계의미래 차세대 산업의 경량화와 발전을 주도하는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할 포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동양강철 인수 당시의 심정과 각오


“2002년 10월 인수 당시 ㈜동양강철은 1990년대 말의 IMF 외환위기 당시 경영위기 이후 4년이상 장기적인 법정관리 상태에 놓여진 실질적으로 파산상태의 회사였다. 그리고 본인은 당시 동양강철에 금형을 공급하던 협력업체의 위치에 있었다. 당시 동양강철의 생산설비나 능력에 비해 매출액은 현저히 떨어진 상태였고 주력 생산품이던 건축용 알루미늄 샤시는 무한경쟁 상태이면서 사양산업의 길로 접어든 시점이어서 어떤 획기적인 전환점 없이는 회사의 내일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인수 직후 일본, 유럽 등 선진국들을 돌아보면서 현재 알루미늄 산업이 건축재로써 사양산업이지만 기술개발 노력을 통해 산업용 고급 신소재 산업으로 전환한다면 도전이 가능하겠다는 확신이 섰다. 그래서 주력사업을 건축자재에서 산업용 소재로 전환키로 하고 귀국 즉시 회사의 사업구조 전환에 착수했다. 산업용 신소재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에 적극 나서는 한편 구조조정에 주력했다.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한다는 각오로 가장 기본적인 것에 집중하고자 노력했다.”

 

   
 

◆삼성전자에 LCD/LED TV 알루미늄 소재 공급 계기

“삼성전자와의 관계는 2006년 경 삼성전자의 LCD 선행개발 파트에서 우리 회사에 압출과 관련한 기술적인 문의가 들어와 이에 협의하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당시 삼성전자는 LCD 디스플레이 섀시 프레임 소재를 전량 스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 회사는 대형화하는 LCD 디스플레이 섀시 프레임의 경량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연구소를 통해 스틸 프레임의 알루미늄 대체 가능성을 연구했다. 연구 및 시제품 생산 결과, 압출 알루미늄 소재로 섀시 프레임을 제작할 경우 중량은 스틸 대비 30%가량, 가격은 50% 정도인 데 반해 열 방출 능력은 5배 이상 뛰어난 사실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TV 제작사라면 반드시 채용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제품화에 매진하는 한편 삼성전자에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다. 그 결과 지난 2007년 12월부터 LCD TV용 알루미늄 탑 섀시 프레임을, 2008년 10월 부터는 LED TV용 Edge bar를, 본격적으로 공급하기 시장하였으며, 올 9월 부터는 내장 프레임 뿐아니라 LED TV용 알루미늄 외장 프레임 및 스탠드의 공급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동양강철이 삼성전자의 1차 협력업체로 등록돼 공급을 시작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연구개발 노력 및 뛰어난 제품력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LCD/LED 리드 프레임사업의 급성장 배경은

“세계적으로 LCD·LED 시장규모는 지난 2008년 1억 대에서 2009년 1억 5000만 대로 급속한 증가를 이루고 있으며 2010년 약 2억 1600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돼 매년 약 45%의 급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이 중 삼성전자는 올해 5100만 대를 판매, 점유율 1위로서 전 세계 출하량의 24% 정도를 차지할 것이 예상된다. 향후 업계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예상되는 가운데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경량화, 원가경쟁력과 품질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가볍고, 싸며, 방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압출재로의 소재 전환은 앞으로 더욱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LCD·LED TV용 프레임 사업 역시 TV 시장의 성장 만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삼성전자의 공급선 다변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

“삼성전자는 현재에도 LCD·LED 패널 AL 압출 가공부품 공급선 다변화를 진행 중이며 다변화업체로는 기존 삼성전자의 협력업체로서 알루미늄 압출 소재로 전환 이전 스틸 소재를 공급하던 인지디스플레이, 파인디앤씨 등이 있다. 현재 동양강철은 LCD·LED 패널 AL 압출 가공부품에서 소형 50%, 중형 80%, 대형 100%를 점유하고 있으며, 당사가 국내 최대의 알루미늄 압출 호재 회사이고 경쟁 협력업체가 알루미늄 압출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아 당분간은 전체 공급의 70~8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기술력 부문 및 LED Edge Bar 등에 있어서 당사는 국내 특허 보유 및 글로벌 특허를 출원하는 등 독점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공급선 다변화에 따른 리스크는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논산 농공단지 활용계획 및 대전공장의 이전 가능성?

“논산 양지 제2농공단지는 충남 논산시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조성했으며 우리는 조성면적의 70%를 계열사인 현대알루미늄의 건축용 외장 창호(Curtain Wall)과 알루미늄 거푸집 등 건축용 자재 생산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알루미늄 외에 동양강철과 알루텍, 고강알루미늄 등 4개 계열사 역시 입주할 예정이며, 동양강철은 이 곳에서 향후 대전공장의 시설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철도차량, 자동차 부품, 자전거 경량 프레임 등 산업용 소재 생산라인을 추가 구축할 예정이다. 동양강철 뿐 아니라 계열회사 등의 논산 농공단지 공장건설에 따른 기존 생산시설의 이전 계획은 없으며, 향후 계열사별 생산시설 확대계획에 따라 별도의 알루미늄 소재 생산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랑받는 기업이 되기 위한 노력?

“동양강철은 지난 2002년 말 인수 이후 사업구조 전환과 부단한 연구개발 및 투자를 통해 알루미늄 압출 분야에서는 국내 톱클래스의 소재기업이 됐음을 자부하고 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알루미늄 첨단 신소재 분야에서도 세계 톱클래스 기업으로 거듭나 세계의미래 차세대 산업의 경량화와 발전을 주도하는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할 포부를 갖고 있다. 그러나 기업경영은 단순히 성장과 발전, 이윤의 창출 등의 1차적 책임 뿐 아니라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것에 그 목적과 존재가치가 있다고 믿고 있으며 사회적책임 구현을 통해 기업의 지속성과 영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믿는 바, 대한민국의 나아가 글로벌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 구현에 앞장서서 실천하고자 한다. 인재육성, 사회봉사, 장학사업, 메세나 등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동양강철이 속해 있는 지역, 대한민국이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초일류 기업으로서의 가치 구현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