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충북지역은 연초부터 사정한파가 불어닥쳤다.

‘권력형 토착비리는 척결돼야 한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뜻에 따라 검찰과 경찰 등 사정당국은 고위공직자·지역토착·교육 비리, 사이비언론 사범 등 구조적·고질적 비리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에 나섰다.

한용택 전 군수가 승진·채용 대가로 3명에게서 총 5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돼 2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며, 이향래 전 군수도 채용 대가나 업자 편의도모 등을 구실로 총 5700만 원을 받은 혐의가 드러나 재판을 받고 있다.

또 직원들에게 허위출장비를 수령하도록 지시한 뒤 이를 갹출하는 방법으로 1480만 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충북개발공사 전 사장 채모씨가 형사입건됐다.

정구복 영동군수는 업무추진비로 지역민과 단체 등에 격려금을 전달한 혐의로 기소된데다 이용희 국회의원 아들로부터 2008년 4·9총선을 앞두고 "아버지를 도와달라"는 부탁과 함께 1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현재 검찰조사를 받고 있다.

굵직한 결과물이 나오면서 충북경찰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호평이 나왔다.

퇴직 지방의원들의 소소한 범죄 내지 사이비기자들의 공갈·협박 등 '잔챙이 범죄'만 적발했던 과거와 달리 올 들어서 충북경찰의 성적표를 보면 전문화·고급화 패턴으로 변모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수사인력을 주요부서에 포진해 '무풍지대'로 인식된 권력층에 대한 성역 없는 수사로 충북경찰의 위상을 높였다.

그간 '무풍지대'로 인식된 지역 정·재계는 물론 언론계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내면서 과거 국정원과 검찰에서나 가능했던 특정계층 비리에 대해서도 성역 없는 수사를 벌였다.

충북출신 치안감·경무관 등 고위간부가 배출되면서 겹경사를 맞기도 했다. 보은 출신 이상원 경무관이 조길형 경찰청 기획조정관(충주), 김기용 충남청장(제천)에 이어 치안감으로 승진했고, 이세민 충주서장이 ‘경찰의 별’인 경무관 계급장을 달았다.

하지만 일부 경관들의 비위는 오점으로 남았다.

홍동표 전 총경이 올해 청주흥덕서장으로 근무하면서 고향 선배에게 사행성게임장 단속정보를 제공하고 금품을 받았다는 혐의로 10일 구속영장실질검사를 받는다.

경찰 간부가 사건관계인으로부터 편의를 제공한 대가로 뇌물을 받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게임장과 연루된 경관들이 줄줄이 징계조치 됐다.

이 밖에도 김용판 충북청장 취임 후 일선 경찰서장이 해당 지역 실정에 가장 적합한 치안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치안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과 치안정책 운영상의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자율책임 성과경영’을 전국 지방청 최초로 도입해 눈길을 끌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