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포항공대에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하는 내년도 예산안의 기습 통과로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가능성이 더욱 멀어지고 있다.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들어선다해도 가속기가 없는 속빈 강정이 되거나, 아예 경북 포항으로 입지 자체를 빼앗길 수 있다는 것. 이번에 처리된 예산안 가운데 한나라당은 경북 포항공대에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관련 예산 200억 원도 통과시켰다.
반면 과학벨트의 핵심 시설 가운에 하나인 중이온가속기 관련 예산 통과액은 이의 절반인 100억 원에 불과하다. 게다가 포항공대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예산은 내년 200억 원을 시작으로 2012년 1500억 원, 2013년 1500억 원, 2014년 800억 원 등 구체적이고도 신속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이미 계획된 상태다.
이에 반해 과학벨트의 중이온가속기는 오는 2016년 완성이라는 계획 외에는 구체적인 일정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여서 자칫 포항공대 가속기 사업에 묻힐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 당 4000억 원 대에 달하는 비슷한 규모의 거대 과학 시설 두 기를 동시에 건설하는 것이 우리나라 과학 관련 예산 사정이나 관련 분야 전문인력 능력 등에 미뤄볼 때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정부 역시 지난 논의에서 가속기 두 기를 동시에 건설하는 것은 어려워, 우선순위를 둘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지역 정치권과 과학계는 이번 예산안 처리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 당시 약속한 충청권 과학벨트 자체를 뒤흔들 것이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소속 이상민 의원(자유선진당)은 9일 대덕특부본부 기자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공대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강행과 과학벨트의 입지 불안을 초래하고 있는 정부를 강력 비판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공모나 검증기관에 의한 조사도 없이 포항공대 산하에 불과한 가속기 건설을 강행 추진하는 것은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을 염두한 지역적 특혜라는 것.
게다가 현재 포항공대에 기 설치된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에 대해 1000억 원을 들여 업그레이드 작업을 하는 상황에서 다시 4세대 가속기를 건설하는 것은 중복투자 우려가 있다고 문제제기 했다.
이 의원은 “정부가 지난 대선과 총선 때마다 충청권을 상대로 과학벨트 입지를 두고 정략적으로 악용한 전례를 볼 때 이번 과학벨트 법 통과가 상당히 걱정스럽다”며 “특히 포항의 경우 이번 가속기 신설계획 이전부터 과학벨트 유치 물밑 작업이 가장 심했던 곳이어서 충청권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