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KT&G와의 지리한 법정공방까지 벌여가며 조성한 첨단문화산업단지는 정작 시의 대표적인 '돈 먹는 하마'로 불리고 있다.
지난 2001년 시는 첨단문화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KT&G로부터 상당구 내덕동의 옛 연초제조창 부지 전체 13만 6000㎡ 중 8만3000㎡를 260억 원에 매입했다.
이후 동부창고 부지 3만 3000㎡를 제외한 5만 ㎡의 부지와 3만㎡ 규모의 기존 건물을 활용, (재)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이하 문화재단)을 출범시켜 이를 관리·운영케 하고 있다.
'굴뚝 없는 산업'이라는 문화콘텐츠 분야를 미래를 예측하고 △학습게임 콘텐츠 △이러닝산업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을 포함한 '에듀테인먼트콘텐츠' 산업의 추진이 그 목적이다.
그러나 사업초기 화려했던 계획과 달리 상식을 벗어난 부지매입과 미비한 수익창출은 '계륵'이라는 오명을 안게 만들었다.
문화재단은 해마다 시로부터 20억 원의 출연금을 받고 있다. 여기에 기본 재산 조성을 위해 지난 2001년과 2004년 각각 1억 원을 지원받은데 이어 2007년부터 매년 5억 원 씩 추가지원을 받고 있다.
문화재단 출범이후 지원된 예산만 10년 동안 222억 원에 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8억~9억 원에 이르는 제세 공과금을 비롯해 수선비, 경비업체 위탁운영비, 청소용역비, 잡비, 인건비 등으로 대부분 소진되고 있다.
첨단문화산단에 59개의 업체가 입주해 5%의 공실률을 보이며 성업중이지만 저렴한 임대료로 관리비가 더 소진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수입창구라 부르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이에 일각에서는 '문화산업진흥'이라는 허울을 쓰고 혈세로 일부 특정업체의 편의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결국 자립을 위한 뾰족한 해법 없이 시의 출연금으로 유지만 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출범 초기부터 꾸준히 지적돼온 민선 단체장들의 측근 채용은 문화재단의 존재가치를 더욱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시가 문화재단의 출범을 강행했던 이유도 당시 단체장의 선거를 도운 인사들의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함이었다는 후문이 시청 안팎에 기정사실화돼 있다.
민선 단체장이 법적으로 임의채용할 수 있는 자리가 청내에는 7급이하 3자리 밖에 없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자리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출연기관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한 지역인사는 "부지매입비에 운영비를 포함하면 현재까지 500억 원 가까이 예산이 투입된 셈인데 문화재단이 지금까지 한 일은 공예비엔날레 추진 외에 눈에 띄는 것이 있느냐"며 "문화재단이 민선단체장의 선거인사 자리만들어주기용이라는 것은 이미 알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라고 비난했다. 이 인사는 이어 "지금까지 들어간 돈이 아깝다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예산투입은 옳지 못하다"며 "문화재단을 비롯한 첨단문화산단의 존치 여부를 신중히 검토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