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고효율 LED 조명등 보급 확대 사업이 구체적인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효과에 대한 사전검토 없이 진행되면서 전시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LED 조명등 교체 시 들어가는 비용이 기존 형광등 보다 10배 가까이 소요되는 등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환경개선 및 에너지 저감 효과를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에 기인한다.

도는 올해부터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 지침’에 따라 백열전구 등 저효율기기를 퇴출시키고, 대신 고효율 LED 조명등 보급 확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 도내 공공기관 청사의 백열전구를 모두 형광등으로 교체했으며, 향후 2012년까지 공공기관에 설치한 전등의 30%까지를 LED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내 14만여 개의 가로등 중 1000여 개소의 가로등을 LED로 교체하는 등 가로등 고효율 사업도 함께 추진, ‘탈(脫)석유·에너지 자립’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또한 천안시를 비롯해 공주·아산시 등 도내 7개 시·군의 본청 및 별관의 조명등을 LED로 교체하는 등 지자체의 LED 조명등 보급사업도 확대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LED 조명등 보급 확대 사업에 필요한 재원은 국비 70%와 지방비 30%의 비율로 마련할 예정이다.

도는 올해에도 충남지역 LED교체를 위해 국비 36억 900만 원, 도비 37억 6900만 원, 지방비 15억 4900만 원 등을 투입했다.

하지만 LED 교체에 따른 에너지 저감 및 환경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않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교체하는 데 따른 구체적인 사업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이번 LED 교체사업에 대해 사전 연구용역 실시 등 사업에 대한 구체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지는 않았다”며 “그러나 시설 설치 후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분명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