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 부용면의 세종시 편입에 따른 실익 논란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유치에 충북이 들러리가 되지 않도록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충청권 3개 지자체는 국회에 계류 중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원특별법에 충청권 입지를 명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는 당초 세종시 수정안에 따라 거점지구를 세종시로 하고 기능지구인 오송·오창, 대덕을 벨트화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세종시 원안 추진에 따라 수정안이 폐기되면서 입지 재선정 논란이 일었고, 충청권 지자체는 충청지역 입지를 위한 공조체제를 구축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 공조에도 불구 천안 등 일부 지역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최적지임을 내세워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앞서 충북은 이명박 대통령 공약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오송·오창 유치에 나서왔으나 세종시 수정안으로 유치 동력을 상실했었다.
당초 충북도는 오송·오창의 국토 중심의 우수한 교통입지, 안정적인 지반 등을 내세우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유치에 적극 나섰다. 그러나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대한 정부 구상이 원점에서 재검토되자 전국의 지자체들이 재입지에 대한 기대감에 유치 움직임을 보이면서 충청권 지자체와 공동보조를 맞추고 있다.
충청권 지자체들이 공조체제를 유지하는 속에 자기 지역 유치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충북이 자칫 다른 지역의 과학벨트 유치에 들러리를 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나오고 있다.
지역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 원안 추진이라는 명분 때문에 충북은 실익 없이 땅만 내주는 결과를 가져온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각이 일고 있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경우 충청권 입지 공조체제를 유지하더라도 실리를 찾아야 하는 부분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는 들러리를 서는 경우는 없을 것이라며 충청권 입지 공조체제 속에서도 상황 변화에 적극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도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원특별법의 충청권 입지 명기 후 통과에 대한 공조체제에 적극 협조하는 한편 오송·오창 거점지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법의 충청권 입지 명기를 위해 대전 충남과 공조하고 있다”며 “충청권 입지 명기가 안될 경우에 대한 대책 등 다각적인 방안도 강구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단에서 입지 등에 대한 용역을 진행 중에 있고 우리는 이러한 여러 상황에 맞춰 대비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충청권 입지가 결정된 이후 논의될 새로운 입지에 있어 오송·오창지역 유치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