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활용교육(NIE)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적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순 암기나 이해보다는 분석 등 고급사고와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문제 풀이에 NIE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신문협회가 정문성(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팀에 의뢰해 실시한 'NIE가 학업성취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밝혀졌다.
이번 연구는 지난 9월 인천도화초등학교와 서울동원중학교, 서울구일고교에서 각각 2개 학급씩을 임의로 선정해, 실험집단은 신문을 수업자료로 사용하고 비교집단은 교과서만을 수업자료로 사용한 후 성적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결과 초·중·고 모두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반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반 초등학생의 경우 학업 성취도가 평균 61.42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비교반(46점)보다 크게 앞섰다.
중학생은 72.4점(비교반 53.23점), 고등학생은 55.41점(비교반 43.29점)으로 각각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다.
특히 서술형 평가에서는 중·고교(25~26점차)보다 초등학교(52점차)에서 점수 차가 더 크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또 실험반과 비교반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능력을 측정한 결과, 문제해결 평가능력에서 실험반이 10.46점으로 비교반(7.25점)보다 높았다.
신문협회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NIE 수업이 서술형 평가 대비에 적합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특히 단순 암기나 이해보다는 분석 등 고급사고와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문제 풀이에 NIE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신문협회가 정문성(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팀에 의뢰해 실시한 'NIE가 학업성취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밝혀졌다.
이번 연구는 지난 9월 인천도화초등학교와 서울동원중학교, 서울구일고교에서 각각 2개 학급씩을 임의로 선정해, 실험집단은 신문을 수업자료로 사용하고 비교집단은 교과서만을 수업자료로 사용한 후 성적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결과 초·중·고 모두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반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반 초등학생의 경우 학업 성취도가 평균 61.42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비교반(46점)보다 크게 앞섰다.
중학생은 72.4점(비교반 53.23점), 고등학생은 55.41점(비교반 43.29점)으로 각각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았다.
특히 서술형 평가에서는 중·고교(25~26점차)보다 초등학교(52점차)에서 점수 차가 더 크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또 실험반과 비교반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능력을 측정한 결과, 문제해결 평가능력에서 실험반이 10.46점으로 비교반(7.25점)보다 높았다.
신문협회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NIE 수업이 서술형 평가 대비에 적합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