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으로 그치면서 충남도청 이전 부지를 활용, 원도심 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한 대전의 핵심 과제가 장기 표류할 위기다.
대전시는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향토박물관, 공공도서관, 공동 대학캠퍼스, 예술인센터 등 문화시설을 건립한다는 내용의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계획을 세웠지만 7000여억 원이 넘는 사업비를 마련할 방안이 없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1일 대전시, 대전문화연대 등에 따르면 충남도청이 오는 2012년 12월 충남 내포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도청사 및 주변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방안과 원도심 지역의 공동화 현상 방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내년도 예산안에 1억 3000만 원을 편성,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대한 구체적 활용 방안'에 대해 용역을 실시하고, 결과물을 토대로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사업추진을 위해 투입돼야 할 추정 예산이 7000여억 원으로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요구되는 반면 국비 지원을 위한 정부의 확약이나 민간사업자의 참여 의사는 아직까지 전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청 부지 활용방안이 이처럼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정부의 충청권 홀대와 대통령의 잇단 말 바꾸기를 손꼽고 있다.
실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007년 12월 7대 지역공약사업으로 '충남도청을 활용한 국립 근·현대사박물관 건립' 계획을 발표했지만 그 다음해인 2008년 8월 정부는 서울 광화문에 근·현대사박물관을 건립키로 하면서 지역민들의 바람은 물거품이 됐다.
여기에 정부는 효율성을 내세워 추가 국립기관의 설립을 전면 불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 추진하고 있어 500만 충청도민들이 이에 따른 여러 가지 경제적·사회적 부담을 떠 앉고 있다.
시는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에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투입되는 만큼 전액 국비 또는 일부 국비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사업은 문화관광체육부의 용역안과 민선5기 공약(계획안) 등 기본 방향만 정해진 상태다. 향후 용역결과 제시안을 참고하고, 시민 공청회와 관계 전문가들의 세미나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할 계획이지만 현실적으로 국비 지원 없이는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향토박물관, 공공도서관, 공동 대학캠퍼스, 예술인센터 등 문화시설을 건립한다는 내용의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계획을 세웠지만 7000여억 원이 넘는 사업비를 마련할 방안이 없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1일 대전시, 대전문화연대 등에 따르면 충남도청이 오는 2012년 12월 충남 내포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도청사 및 주변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방안과 원도심 지역의 공동화 현상 방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내년도 예산안에 1억 3000만 원을 편성, '충남도청 이전 부지에 대한 구체적 활용 방안'에 대해 용역을 실시하고, 결과물을 토대로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사업추진을 위해 투입돼야 할 추정 예산이 7000여억 원으로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요구되는 반면 국비 지원을 위한 정부의 확약이나 민간사업자의 참여 의사는 아직까지 전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청 부지 활용방안이 이처럼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정부의 충청권 홀대와 대통령의 잇단 말 바꾸기를 손꼽고 있다.
실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007년 12월 7대 지역공약사업으로 '충남도청을 활용한 국립 근·현대사박물관 건립' 계획을 발표했지만 그 다음해인 2008년 8월 정부는 서울 광화문에 근·현대사박물관을 건립키로 하면서 지역민들의 바람은 물거품이 됐다.
여기에 정부는 효율성을 내세워 추가 국립기관의 설립을 전면 불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정, 추진하고 있어 500만 충청도민들이 이에 따른 여러 가지 경제적·사회적 부담을 떠 앉고 있다.
시는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에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투입되는 만큼 전액 국비 또는 일부 국비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한밭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사업은 문화관광체육부의 용역안과 민선5기 공약(계획안) 등 기본 방향만 정해진 상태다. 향후 용역결과 제시안을 참고하고, 시민 공청회와 관계 전문가들의 세미나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할 계획이지만 현실적으로 국비 지원 없이는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