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장항항 대체어항은 어선증가에 따라 현 장항항이 극히 혼잡한 데다 토사매몰, 낡고 노후된 기반시설 등의 문제로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그동안 건설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최근 원안추진키로 최종 결정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사진은 대체어항 조감도. 서천수협 제공 | ||
장항항 대체어항 건설은 당초 관련예산 증가 등을 이유로 기획재정부에서 한때 삭감될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서천출신인 노철래 의원(미래희망연대 원내대표)과 김기웅 서천수협 조합장 등의 지속적인 설득에 힘입어 최근 원안 추진키로 확정됐기 때문이다.
총 사업비 430억 원이 투입되는 장항항 정비공사는 서천수협을 비롯한 지역 어업인들의 여론을 적극 수렴해 2007년 정부대안사업으로 약속했던 현 장항항에 대한 정비계획을 대폭 수정, 대체항을 건설하는 방안으로 결정됐다.
앞서, 항만청은 대체항 건설을 위해 군산항계로 명명했던 장항읍 장암리 일원을 장항항계로 확정한 바 있으며 주요 기반시설인 어선물량장 신설에 400여억 원을 투입키로 결정했다.
아울러 야적장, 호안정비, 현 물량장 보수·보강사업 등을 연차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김기웅 서천수협 조합장은 “대체항 건설을 위해 설계부터 예산 확보, 공사 추진까지 출향인사 등 각계의 도움이 컸다”며 “장항항 대체항 건설은 주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물론, 실질적인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조합장은 또 “기존 어선물양장은 외곽시설이 없어 기상악화 시 항외측 정박지 이용이 어렵고, 금강하굿둑의 토사 퇴적 등의 영향으로 접안수심 유지가 곤란한 상황”이라며 “특히 항만시설(부잔교) 이용 어선이 크게 증가해 시설이 협소한 데다, 장항항을 이용하는 대형선박과의 안전사고 등이 우려됐으나 대체어항 건설로 이 같은 어려움이 말끔히 해소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