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발전연구원이 과도한 외부수탁 연구활동으로 인해 연구용역회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충남도의 싱크탱크로서 도내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연구와 도정 정책 개발 등을 선도하는 것이 충발연의 주 업무이지만, 연구 인력과 예산의 부족을 이유로 외부기관의 수탁 연구사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현재 충발연은 도에게 매년 25억 원의 출연금을 지원받고 있지만, 이는 연구원 인건비 30억 원의 83%수준에 불과해 지속적인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족한 인건비와 연구원 운영비의 재원을 자체적으로 마련키 위해 연구진 대부분이 외부기관으로부터 주어지는 연구용역에만 매달려야 하는 형편이라는 게 충발연의 설명이다.

2010년 전국 시·도연구원 예산현황에 따르면 충발연의 올해 운영예산에서 용역수입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50.7%로 전국 평균 24.6%를 상회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또 전국 15개 시·도 연구원의 1인당 연간 외부수탁 연구 건 수를 살펴보면 전국 평균 3.5건인 것에 비해 충발연은 6.5건이었다.

2009년을 기준으로 대전·충남·북의 연구기관을 비교해 보면 대전발전연구원의 경우 1인당 연간 외부수탁 연구활동이 5건, 충북개발연구원은 4건으로 나타난 반면, 충발연의 경우 7.5건으로 가장 높은 업무 부담률이 보였다.

외부수탁 용역연구 1건을 수행하는 데 최소 1~2개월이 소요된다고 가정할 때 1년 중 3~4개월을 외부기관 연구에 소요하게 되며 그만큼 도정 정책개발과 선도사업 연구에 소홀해 진다는 계산이다.

특히, 농수산업을 비롯해 지방자치재정, 항만물류, 복지 등의 분야에는 전문 연구인력도 제대로 충원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도정 발전연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일고 있다.

충발연 관계자는 “내년도 도 지원금을 40억 원으로 상향조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소 운영예산에 있어 용역수입이 차지하는 부담을 현 50%에서 44%까지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각에서 “충발연이 자체 예산을 마련하는 비율이 높은데, 재정자립도가 높아 좋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제시한 것에 대해 충발연은 “자립도가 높다는 것은 반대로 용역사업을 중심으로 해야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충발연을 용역회사로 전락시키는 것”이라고 반론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