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행정도시건설현장 및 4대강사업장 하도급업체들의 잇단 부도로 공사지연은 물론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8일 지역중장비 업체 및 자재납품업체들에 따르면 행정도시건설현장 내 하도급업체들의 잇단 부도로 원청으로부터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는 현장이 속출하고 있다.

실제 A기업의 경우 몇 군데서 공사를 하면서 공사대금을 돌려 막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하다 결국 부도처리 됐다. 특히 행정도시 건설현장은 대부분 저가입찰에 의해 업체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원청에서 하도급업체에게 공사를 발주한다고 해도 공사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하도급을 받은 업체는 목수, 골조하청 등으로 또다시 구분해 재하청을 주기 때문에 최소한의 경비를 충당하지 못해 부도를 맞거나 내고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도업체 대부분은 공사추진시 필요한 자재를 연기군과 공주시, 대전시 노은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자재대금을 받지 못한 납품업체들이 2차 피해를 보고 있어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아울러 업체들이 이용하던 영세 식당까지 부도 피해를 입고 있어 행정도시건설청과 LH 등 관련기관이 실태파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4대강사업과 관련 일부 하도급업체들도 부도가 발생됐거나 부도 직전인 업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하도급업체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실제 엘드건설, 포스코건설의 협력사인 대명건설(유성도로확포장공사), 대우건설의 라진건설(4대강사업), 한신공영의 하남건설(첫마을 아파트), 코오롱건설의 진성토건(국도우회도로공사), 금호건설의 한빛건설(첫마을아파트), 대림건설의 정주토건(국도우회도로공사), 코오롱건설의 대성토건 등은 이미 부도가 난 상태이다.

경남건설의 하나토건은 현재 공사대금 지급일이 90일이 지났는데도 결제가 미뤄지고 있으며 삼성의 테두건설은 8월분부터 미지급 상태이며, 임광의 거남토건은 6월분 미지급, GS건설의 송강건설은 6월분 미지급 상태다. 이처럼 미지급상태가 길어지면 하청업체들은 자동적으로 부도가 나기 때문에 지역내 자재·중장비·인력지원 업체·식당 등은 연쇄 부도가 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민 임모(54·사업) 씨는 “행정도시 건설현장은 무조건 저가입찰에 의해 업체가 결정돼 하도급업체도 저가로 결정되고 하도급업체가 또다시 재하도급업체에 저가로 발주하기 때문에 부도의 악순환은 당연한 일”이라며 “계속해서 부도가 나면 지역경제만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상급기관의 감사 등 대책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연기=황근하 기자 guesttt@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