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내 한꿈이 교통카드 유인 충전소 상당수가 임의로 충전금액을 정하고, 소액충전을 거부하고 있어 교통카드 이용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25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학생 하한선 5000원 이상 1000원 단위 충전, 일반 하한선 1만 원 이상 1000원 단위 충전 등 자체규정을 마련해 놓고, 지난 2003년부터 버스정류장, 지하철 역사 등에 교통카드 충전소를 설치, 민간업체에 위탁해 운영중이다.
하지만 일부 유인충전소 운영업자들이 “충전 수수료가 적어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1000원 단위의 최소 충전금액을 거부하고 있어 학생 및 하루교통 이용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들 업자는 교통카드 1만 원을 충전할 경우 자신들이 가져갈 수수료가 50~80원 정도이며, 이 수익으로는 충전소를 운영하기가 빠듯하다는 이유에서 소액 충전을 거부하고 있다.
대학생 이모(23·여) 씨는 "집 근처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버스카드 충전소에서 6000원 충전을 맡겼더니 1만 원부터 충전이 가능하다며 충전을 거부해 1000원 단위 충전이 돼는 편의점이나 은행 등을 찾아 헤매야해 불편을 겪고있다"고 토로했다.
직장인 김모(31·여) 씨는 "버스카드 충전소에서 충전거부를 여러번 당해 아예 후불 교통카드로 바꿔 버렸다"며 "충전소 측이 자신들의 마진을 이유로 자기들 멋대로 규칙을 정해 시민들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말했다.
실제 본보 취재진이 일부 지하철 역과 버스정류장 주변을 중심으로 10여 곳의 교통카드 충전소를 확인한 결과, 도마시장 버스정류장 인근 타임월드 앞 정류장, 둔산동 충남고등학교 등 학교주변 버스정류장 인근 유인 충전소 등은 1000원 단위 소액 충전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민간업체에 위탁 운영하고 있어 직접 나서 소액충전을 강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수시로 민원이 들어오고 있어 위탁업체에 소액충전 유도 공문을 내려보냈지만 소용이 없다”며 “내년부터는 교통카드 충전 편의점을 5대 브랜드 매장으로 확대하고 자택에서 인터넷으로도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 시민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전시는 천변고속화도로 10개소, 유인충전소 176개소, 지하철 역사 23개소, 편의점 110개소 등 319개소의 교통카드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25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학생 하한선 5000원 이상 1000원 단위 충전, 일반 하한선 1만 원 이상 1000원 단위 충전 등 자체규정을 마련해 놓고, 지난 2003년부터 버스정류장, 지하철 역사 등에 교통카드 충전소를 설치, 민간업체에 위탁해 운영중이다.
하지만 일부 유인충전소 운영업자들이 “충전 수수료가 적어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1000원 단위의 최소 충전금액을 거부하고 있어 학생 및 하루교통 이용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들 업자는 교통카드 1만 원을 충전할 경우 자신들이 가져갈 수수료가 50~80원 정도이며, 이 수익으로는 충전소를 운영하기가 빠듯하다는 이유에서 소액 충전을 거부하고 있다.
대학생 이모(23·여) 씨는 "집 근처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버스카드 충전소에서 6000원 충전을 맡겼더니 1만 원부터 충전이 가능하다며 충전을 거부해 1000원 단위 충전이 돼는 편의점이나 은행 등을 찾아 헤매야해 불편을 겪고있다"고 토로했다.
직장인 김모(31·여) 씨는 "버스카드 충전소에서 충전거부를 여러번 당해 아예 후불 교통카드로 바꿔 버렸다"며 "충전소 측이 자신들의 마진을 이유로 자기들 멋대로 규칙을 정해 시민들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말했다.
실제 본보 취재진이 일부 지하철 역과 버스정류장 주변을 중심으로 10여 곳의 교통카드 충전소를 확인한 결과, 도마시장 버스정류장 인근 타임월드 앞 정류장, 둔산동 충남고등학교 등 학교주변 버스정류장 인근 유인 충전소 등은 1000원 단위 소액 충전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민간업체에 위탁 운영하고 있어 직접 나서 소액충전을 강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수시로 민원이 들어오고 있어 위탁업체에 소액충전 유도 공문을 내려보냈지만 소용이 없다”며 “내년부터는 교통카드 충전 편의점을 5대 브랜드 매장으로 확대하고 자택에서 인터넷으로도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 시민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전시는 천변고속화도로 10개소, 유인충전소 176개소, 지하철 역사 23개소, 편의점 110개소 등 319개소의 교통카드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