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관내 대청호 인근 상수원보호구역에 하수 차집관로가 설치되며, 생활기반시설의 증축 및 음식점 영업 허가범위가 확대된다.
추동과 세천동 일대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주민센터 건립사업도 주민회관, 목욕탕 등 복지시설 위주의 복합시설로 우선 건립되고, 향후 행정기관을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25일 금요민원실 현장과의 대화를 위해 대청동 주민센터를 방문, 10여 명의 주민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1998년 추동과 세천동 통폐합으로 설치된 대청동은 1980년 대청댐 건설로 총면적의 23.8%가 수몰됐으며, 15개의 법정동과 1325가구, 3130명이 거주하는 도·농 복합지역이다.
특히 지난 1980년 대청댐 수몰후 현직 시장이 대청동을 방문한 것은 30년 만에 처음이며,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 각종 규제에 따른 재산권 침해로 주민들의 불만이 극심했던 지역이다.
이날 주민대표로 참석한 송백순 대청동 주민자치위원장은 "그 동안 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은 대전시민들의 식수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규제로 건축물 증·개축이 제한되는 등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겪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송 위원장은 "주민들의 복지수요를 감안해 복합주민문화센터를 건립과 하수관거 설치, 옥천길 확장 및 보도·자전거도로 확충해 달라"고 건의했다.
또 송석문 통장협의회 회장은 "현재 인근에 사용하지 않는 폐도로가 많아 이 일대에서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염 시장은 이 자리에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이 엄격한 행위규제로 재산권 침해는 물론 생활불편이 많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면서 "내년부터 상수원보호구역 전역에 하수 차집관로를 설치한 후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 생활기반시설의 증축이나 음식점 영업 허가범위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등 주민들의 생활편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주민들의 요구와 건의사항을 적극적으로 시정에 반영할 것이며, 150만 시민의 상수원 확보와 수질보전을 위한 불가피한 상황을 이해해 주길 바라며, 주민들의 생활불편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추동과 세천동 일대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주민센터 건립사업도 주민회관, 목욕탕 등 복지시설 위주의 복합시설로 우선 건립되고, 향후 행정기관을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25일 금요민원실 현장과의 대화를 위해 대청동 주민센터를 방문, 10여 명의 주민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1998년 추동과 세천동 통폐합으로 설치된 대청동은 1980년 대청댐 건설로 총면적의 23.8%가 수몰됐으며, 15개의 법정동과 1325가구, 3130명이 거주하는 도·농 복합지역이다.
특히 지난 1980년 대청댐 수몰후 현직 시장이 대청동을 방문한 것은 30년 만에 처음이며,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 각종 규제에 따른 재산권 침해로 주민들의 불만이 극심했던 지역이다.
이날 주민대표로 참석한 송백순 대청동 주민자치위원장은 "그 동안 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은 대전시민들의 식수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규제로 건축물 증·개축이 제한되는 등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제약을 겪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송 위원장은 "주민들의 복지수요를 감안해 복합주민문화센터를 건립과 하수관거 설치, 옥천길 확장 및 보도·자전거도로 확충해 달라"고 건의했다.
또 송석문 통장협의회 회장은 "현재 인근에 사용하지 않는 폐도로가 많아 이 일대에서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염 시장은 이 자리에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이 엄격한 행위규제로 재산권 침해는 물론 생활불편이 많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면서 "내년부터 상수원보호구역 전역에 하수 차집관로를 설치한 후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 생활기반시설의 증축이나 음식점 영업 허가범위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등 주민들의 생활편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주민들의 요구와 건의사항을 적극적으로 시정에 반영할 것이며, 150만 시민의 상수원 확보와 수질보전을 위한 불가피한 상황을 이해해 주길 바라며, 주민들의 생활불편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