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갯수 많지만 질은 떨어져
대전지역에 1700곳이 넘는 민방위 대피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화생방이나 핵공격 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1등급 시설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1780개의 민방위 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으며, 면적은 225만 1845㎡에 이른다. 구청별로는 동구가 715개로 가장 많고, 서구 592개, 대덕구 280개, 유성구 113개, 중구 80개 등 순이다.
현행 민방위 기본법 상 3.3㎡당 4명 이상이 몸을 숨길 수 있는 곳을 대피시설로 지정하기 때문에 인구 대비 대피 면적은 2배가 넘은 셈이다. 그러나 적의 집중포화 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등급별 대피시설 수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수준이다.
2등급으로 분류되는 고층건물의 지하 2층 이하, 지하철, 터널 등은 모두 76곳이 있지만 면적은 58만 6099㎡로, 시민 절반인 7만 9000여 명 정도 대피할 수 있다. 또 지하상가나 양호한 건물 지하층, 지하 차·보도 등 방호 3등급은 703곳에 139만 1655㎡, 개인주택이나 소규모 건물 지하인 4등급 시설은 1001개(56만 4091㎡) 등으로, 대다수 대피시설이 3, 4등급에 집중돼 있다.
방호도 1등급 시설은 포탄 낙하나 화생방 공격 시 보호가 가능하며, 전기나 통신 설비 등을 갖춰 전시에도 장기간 거주할 수 있다.
반면 2등급 이하 시설은 임시대피 정도만 가능할 뿐 거주는 어렵고, 4등급은 주로 개인 소유 건물 지하주차장 등 소규모 공간으로 다중집합장소 사용은 거의 힘들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 대전지역에 다수의 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지만 시설임을 알리는 표지판 등이 미흡해 유사시 어느 장소를 이용해야하는지 모르는 시민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대전에는 중구 보문산 인근에 전기, 수도, 통신시설 등을 갖춘 1등급 대피시설인 지하벙커가 있었지만 현재는 수족관 등을 갖춘 관광시설로 개발 중이다.
◆충남도, 상·하반기 1번씩 표본 20개만 점검
충남도내 민방위대피시설과 장비에 대한 점검이 허술한 것으로 나타나 사전 점검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16개 시·군 민방위대피시설은 총 922개로 1등급 시설 1개, 2등급 시설 20개, 3등급 563개, 4등급 338개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 읍단위 이상 주민 137만 4678명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128%의 필요공간을 확보한 상태다.
그러나 위치표시판을 비롯해 시설내부상태, 비상급수시설 확보 등 대피시설 점검을 위한 인력과 예산이 뒷받침되지 못해 수박겉핥기식 점검이 이뤄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실제 충남도는 이들 대피시설 및 장비를 검검하는 데 총 4명의 인원만 배정했으며 이에 대한 예산 지원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도는 상반기와 하반기 각 1회 씩 총 20개의 대피시설을 표본으로 선정해 대피시설 안내 표지판과 내부사용상태를 점검하는 게 전부다.
또한 민방공대피훈련을 비롯해 재난대비훈련 등 9차례의 비상훈련을 제외하면 대피시설에 대한 홍보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상사태 선포시 주민들의 혼란이 가중될 전망이다.
도는 단지 비상급수시설 확보를 위해 연간 65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것 만으로는 140개에 달하는 비상급수시설 중 1년에 한 두개의 급수시설 점검도 어렵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재정이 열악하다보니 적극적인 점검활동을 펼치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대전지역에 1700곳이 넘는 민방위 대피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화생방이나 핵공격 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1등급 시설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내 1780개의 민방위 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으며, 면적은 225만 1845㎡에 이른다. 구청별로는 동구가 715개로 가장 많고, 서구 592개, 대덕구 280개, 유성구 113개, 중구 80개 등 순이다.
현행 민방위 기본법 상 3.3㎡당 4명 이상이 몸을 숨길 수 있는 곳을 대피시설로 지정하기 때문에 인구 대비 대피 면적은 2배가 넘은 셈이다. 그러나 적의 집중포화 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등급별 대피시설 수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수준이다.
2등급으로 분류되는 고층건물의 지하 2층 이하, 지하철, 터널 등은 모두 76곳이 있지만 면적은 58만 6099㎡로, 시민 절반인 7만 9000여 명 정도 대피할 수 있다. 또 지하상가나 양호한 건물 지하층, 지하 차·보도 등 방호 3등급은 703곳에 139만 1655㎡, 개인주택이나 소규모 건물 지하인 4등급 시설은 1001개(56만 4091㎡) 등으로, 대다수 대피시설이 3, 4등급에 집중돼 있다.
방호도 1등급 시설은 포탄 낙하나 화생방 공격 시 보호가 가능하며, 전기나 통신 설비 등을 갖춰 전시에도 장기간 거주할 수 있다.
반면 2등급 이하 시설은 임시대피 정도만 가능할 뿐 거주는 어렵고, 4등급은 주로 개인 소유 건물 지하주차장 등 소규모 공간으로 다중집합장소 사용은 거의 힘들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 대전지역에 다수의 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지만 시설임을 알리는 표지판 등이 미흡해 유사시 어느 장소를 이용해야하는지 모르는 시민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대전에는 중구 보문산 인근에 전기, 수도, 통신시설 등을 갖춘 1등급 대피시설인 지하벙커가 있었지만 현재는 수족관 등을 갖춘 관광시설로 개발 중이다.
◆충남도, 상·하반기 1번씩 표본 20개만 점검
충남도내 민방위대피시설과 장비에 대한 점검이 허술한 것으로 나타나 사전 점검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16개 시·군 민방위대피시설은 총 922개로 1등급 시설 1개, 2등급 시설 20개, 3등급 563개, 4등급 338개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 읍단위 이상 주민 137만 4678명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128%의 필요공간을 확보한 상태다.
그러나 위치표시판을 비롯해 시설내부상태, 비상급수시설 확보 등 대피시설 점검을 위한 인력과 예산이 뒷받침되지 못해 수박겉핥기식 점검이 이뤄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실제 충남도는 이들 대피시설 및 장비를 검검하는 데 총 4명의 인원만 배정했으며 이에 대한 예산 지원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도는 상반기와 하반기 각 1회 씩 총 20개의 대피시설을 표본으로 선정해 대피시설 안내 표지판과 내부사용상태를 점검하는 게 전부다.
또한 민방공대피훈련을 비롯해 재난대비훈련 등 9차례의 비상훈련을 제외하면 대피시설에 대한 홍보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상사태 선포시 주민들의 혼란이 가중될 전망이다.
도는 단지 비상급수시설 확보를 위해 연간 65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것 만으로는 140개에 달하는 비상급수시설 중 1년에 한 두개의 급수시설 점검도 어렵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재정이 열악하다보니 적극적인 점검활동을 펼치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라고 밝혔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