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용역 시민 대토론회가 24일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열려 참석한 패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속보>=대전시 원촌동 하수처리장의 이전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보 15일자 3면, 17일자 3면 보도>특히 지역의 중장기적 발전과 현 하수처리장의 시설 노후화, 하천의 수질 개선 등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 '시설의 완전 이전'인 만큼 늦어도 내년부터는 이전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실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전시는 24일 시청 세미나실에서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갖고, 현 원촌동 하수처리장의 이전 등에 대한 주민의견을 수렴했다.

'대전의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수행 중인 대전발전연구원 이재근 박사는 이날 토론회에 앞서 진행된 용역 중간보고회를 통해 "현재 원촌동의 하수처리장과 오정동의 위생처리장, 대덕산업단지의 폐수처리장 등의 시설들은 위치와 악취발생, 처리시설 용량 한계 등의 심각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고 전제한 뒤 "하수처리시설의 최대 내구연한은 30년으로 지난 1989년부터 가동된 현 하수처리장은 오는 2020년부터는 처리의 안전성이 위협받는다"며 이전을 위한 사업 추진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또 "대덕R&D특구의 개발과 갑천 하류지역의 도시개발에 따른 가압이송(역펌핑) 처리 등 이들 지역에 대한 하수처리장 신설이 시급하고, 토목·기계·전기 등 기존 시설의 노후화로 시설에서의 악취발생,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이 계속되고 있다"며 "무엇보다 기존 시설의 한계로 금강수계의 수질환경이 악화될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1970~80년대 도심 외곽이었던 원촌동 일대가 현재는 대전의 중심부로 성장했고, 대덕R&D특구의 개발 사업이 예정됐기 때문에 하수처리장 시설의 완전 이전과 현 부지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박사는 "하수처리장의 완전 이전과 시설 지하화를 통해 갑천의 수질개선 및 지역발전, 대규모 사업비 투입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 환경기술 연구 등의 직간접적 효과가 기대된다"며 "예상 사업소요 기간이 10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하수처리장의 이전 사업은 지역의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