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철만 되면 스트레스로 머리가 한움 큼씩 빠지는 기분입니다.”
연말 인사철이 다가오면서 각 금융권 임원진들이 재임 여부를 두고 노심초사하고 있다. 임원진들은 금융사 등 기업 임원이 되면 업무평가를 통해 매년 재계약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2~3년간 연임한 본부장급 임원은 그 누구보다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시기다.
모 은행 관계자는 “인사철이 되면 직원들 사이에서 임원진의 거취를 두고 무성한 소문이 돈다”며 “결국 소문이 임원들의 귀로도 들어가 사실여부를 떠나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라고 귀띔했다.
이로 인해 매년 인사철이 되면 업무를 잘 해놓고도 불안한 마음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것
정해진 임기는 없지만 대부분의 조직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2년 정도의 업무 기간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초임 임원들보다는 연임한 임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기 마련이다.
모 시중은행 임원은 “정해진 임기가 없다보니 매년 이맘때가 되면 불안함과 쓸쓸한 기분이 자주 찾아온다”며 “한 해를 돌아보며 이 정도면 할만큼 했다고 스스로를 위로하지만 당일까지 알 수 없는 인사 결과에 촉각이 곤두서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금융사 본부장 역시 “보통 임원급들의 나이를 감안할 때 대부분 대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아 혹시나 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매한가지일 것”이라며 “인사철에는 실적에 대한 스트레스에 미래 문제까지 고민이 생겨 밤에 잠도 잘 오지 않는다”고 쓴 웃음을 지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연말 인사철이 다가오면서 각 금융권 임원진들이 재임 여부를 두고 노심초사하고 있다. 임원진들은 금융사 등 기업 임원이 되면 업무평가를 통해 매년 재계약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2~3년간 연임한 본부장급 임원은 그 누구보다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시기다.
모 은행 관계자는 “인사철이 되면 직원들 사이에서 임원진의 거취를 두고 무성한 소문이 돈다”며 “결국 소문이 임원들의 귀로도 들어가 사실여부를 떠나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라고 귀띔했다.
이로 인해 매년 인사철이 되면 업무를 잘 해놓고도 불안한 마음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것
정해진 임기는 없지만 대부분의 조직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2년 정도의 업무 기간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초임 임원들보다는 연임한 임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기 마련이다.
모 시중은행 임원은 “정해진 임기가 없다보니 매년 이맘때가 되면 불안함과 쓸쓸한 기분이 자주 찾아온다”며 “한 해를 돌아보며 이 정도면 할만큼 했다고 스스로를 위로하지만 당일까지 알 수 없는 인사 결과에 촉각이 곤두서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금융사 본부장 역시 “보통 임원급들의 나이를 감안할 때 대부분 대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아 혹시나 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매한가지일 것”이라며 “인사철에는 실적에 대한 스트레스에 미래 문제까지 고민이 생겨 밤에 잠도 잘 오지 않는다”고 쓴 웃음을 지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