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평도 폭격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입장 변화를 놓고 초기 대응 방식이 미흡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3일 북한의 연평도 폭격 직후 “단호하지만 확전이 되지 않도록 하라”고 지시한데 이어 불과 몇 시간 후 “몇 배 보복을 하라”고 변화된 입장을 밝혔다.
이를 놓고 국회 국방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에서 갑론을박을 벌이며, 정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은 이 대통령의 변화된 입장에 대해 “이것은 전부 다 싸우지 말라는 것”이라며 “군 통수권자가 처음에 확전되는 것을 두려워하니 전투기까지 떴는데도 우리가 저쪽을 못 때렸다”고 비난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이 대통령의) 이런 말은 공격자를 압도해야 할 상황에서 적을 이롭게 하는 이적발언”이라며 “언론에 보도하게 된 경위를 규명,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인책론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제천 단양)도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은 후 한 시간 동안 우리군대는 무엇을 했는가”라며 “종치고 다 끝난 뒤 무슨 단호한 대책이냐”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이 대통령으로부터 ‘단호하지만 확전이 되지 않도록 하라’는 최초 지시가 있었다”며 “이는 이 같은 도발이 있었을 때 가장 적합한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13분 뒤 대응사격은 훈련이 잘됐을 때 가능하다”며 “포탄이 떨어진 시점부터는 대피해야 하고 대피상태에서 남서쪽이던 포를 다시 전방으로 바꿔야 하며, 포를 준비해서 사격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한편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24일 이명박 대통령의 전날 ‘확전 방지’ 발언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결코 이 대통령이 직접 한 말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홍 수석은 브리핑에서 이 같이 말하고 “회의에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오가는 과정에서 일부 참모들의 발언에서 그런 말이 야기된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3일 북한의 연평도 폭격 직후 “단호하지만 확전이 되지 않도록 하라”고 지시한데 이어 불과 몇 시간 후 “몇 배 보복을 하라”고 변화된 입장을 밝혔다.
이를 놓고 국회 국방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에서 갑론을박을 벌이며, 정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은 이 대통령의 변화된 입장에 대해 “이것은 전부 다 싸우지 말라는 것”이라며 “군 통수권자가 처음에 확전되는 것을 두려워하니 전투기까지 떴는데도 우리가 저쪽을 못 때렸다”고 비난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이 대통령의) 이런 말은 공격자를 압도해야 할 상황에서 적을 이롭게 하는 이적발언”이라며 “언론에 보도하게 된 경위를 규명,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인책론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제천 단양)도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은 후 한 시간 동안 우리군대는 무엇을 했는가”라며 “종치고 다 끝난 뒤 무슨 단호한 대책이냐”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이 대통령으로부터 ‘단호하지만 확전이 되지 않도록 하라’는 최초 지시가 있었다”며 “이는 이 같은 도발이 있었을 때 가장 적합한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13분 뒤 대응사격은 훈련이 잘됐을 때 가능하다”며 “포탄이 떨어진 시점부터는 대피해야 하고 대피상태에서 남서쪽이던 포를 다시 전방으로 바꿔야 하며, 포를 준비해서 사격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한편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24일 이명박 대통령의 전날 ‘확전 방지’ 발언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결코 이 대통령이 직접 한 말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홍 수석은 브리핑에서 이 같이 말하고 “회의에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오가는 과정에서 일부 참모들의 발언에서 그런 말이 야기된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