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민들이 시군통합의 가장 큰 혜택으로 꼽고 있고, 이종윤 청원군수의 민선 5기 공약이기도 한 청주청원광역시내버스요금단일화가 난항을 겪고 있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지난 10일 청원군청 상황실에서 한범덕 청주시장과 이종윤 청원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를 재개하고 ‘실천가능사업’ 18개를 공동 추진키로 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 협약서에는 청원군민, 그중에서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골지역 주민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시내버스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빠져 있었다.
시내버스요금단일화는 이 군수의 핵심공약 사항이기도 하다. 이 군수는 ‘선거공약 실천계획’을 통해 오는 2012년 노선정비를 완료하고, 오는 2013년 요금단일화를 완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의 시내버스 운영은 청주시내 버스가 청원군 지역 간선도로를 통해 면 소재지에 도착한 후 공영버스로 환승해 군 지역 목적지에 도착하게 돼 있다. 또 시내버스 요금은 현금기준으로 일반인 1150원, 학생 900원, 초등학생 550원으로 청주시 경계를 벗어나면 1㎞당 추가요금이 발생해 청원군 오지지역 주민은 평균 1.5~3배의 요금을 추가 지급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청원군 지역 서민들의 대표적 민원이자 통합과 관련된 중요 사업으로 꾸준히 그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청주시는 내년 2억 35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실시할 예정인 ‘대중교통 이용 촉진 및 활성화 방안 용역’에 노선정비 및 요금단일화에 대한 부분은 실시치 않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요 사업이라는 데는 청주시와 청원군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양 지자체의 이해가 맞물려야 용역에 들어갈 수 있다”며 “통합 전에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가 시행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밝혔다.
시가 사업추진에 난색을 표한 이유는 예산문제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은 시내버스 벽지노선 운행에 따른 수익보전 차원에서 연간 23억 원과 33억 원의 예산을 각각 지원하고 있다. 시는 현 상황에서 요금단일화를 시행하면 약 80억 원, 노선정비까지 이뤄지면 약 200억 원의 추가 부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이 사업이 지연될 조짐을 보이자 청원군 주민은 단계별 추진을 통해서라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청원군 내수읍 유 모(56) 씨는 “차 있는 사람들은 불편함을 못 느끼겠지만 시내버스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노약자나 서민에게 피부에 와 닿는 문제”라며 “통합과 관련해 청원군민들이 가장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 군수의 공약 사업이라 민선 5기내 이행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실망감이 크다”며 “예산문제로 전면시행이 어렵다면 부분·단계별 시행을 통해 노력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창해·심형식 기자
청주시와 청원군은 지난 10일 청원군청 상황실에서 한범덕 청주시장과 이종윤 청원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청주청원광역행정협의회를 재개하고 ‘실천가능사업’ 18개를 공동 추진키로 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 협약서에는 청원군민, 그중에서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골지역 주민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시내버스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빠져 있었다.
시내버스요금단일화는 이 군수의 핵심공약 사항이기도 하다. 이 군수는 ‘선거공약 실천계획’을 통해 오는 2012년 노선정비를 완료하고, 오는 2013년 요금단일화를 완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의 시내버스 운영은 청주시내 버스가 청원군 지역 간선도로를 통해 면 소재지에 도착한 후 공영버스로 환승해 군 지역 목적지에 도착하게 돼 있다. 또 시내버스 요금은 현금기준으로 일반인 1150원, 학생 900원, 초등학생 550원으로 청주시 경계를 벗어나면 1㎞당 추가요금이 발생해 청원군 오지지역 주민은 평균 1.5~3배의 요금을 추가 지급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청원군 지역 서민들의 대표적 민원이자 통합과 관련된 중요 사업으로 꾸준히 그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청주시는 내년 2억 35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실시할 예정인 ‘대중교통 이용 촉진 및 활성화 방안 용역’에 노선정비 및 요금단일화에 대한 부분은 실시치 않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요 사업이라는 데는 청주시와 청원군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양 지자체의 이해가 맞물려야 용역에 들어갈 수 있다”며 “통합 전에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가 시행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밝혔다.
시가 사업추진에 난색을 표한 이유는 예산문제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은 시내버스 벽지노선 운행에 따른 수익보전 차원에서 연간 23억 원과 33억 원의 예산을 각각 지원하고 있다. 시는 현 상황에서 요금단일화를 시행하면 약 80억 원, 노선정비까지 이뤄지면 약 200억 원의 추가 부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이 사업이 지연될 조짐을 보이자 청원군 주민은 단계별 추진을 통해서라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청원군 내수읍 유 모(56) 씨는 “차 있는 사람들은 불편함을 못 느끼겠지만 시내버스 노선정비와 요금단일화는 노약자나 서민에게 피부에 와 닿는 문제”라며 “통합과 관련해 청원군민들이 가장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 군수의 공약 사업이라 민선 5기내 이행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실망감이 크다”며 “예산문제로 전면시행이 어렵다면 부분·단계별 시행을 통해 노력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창해·심형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