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립연정국악원이 서구 둔산대공원으로 이전 논의가 진행되면서 타당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시립연정국악원이 서구지역인 둔산대공원으로 이전했을 경우 문화시설 편중에 대한 우려와 함께 한밭수목원의 순기능도 잃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립연정국악원 이전 후보지로 중구 뿌리공원 내 장수마을과 서구 둔산대공원, 대전 서남부지구 도안신도시 등 3곳을 선정, 검토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시 안팎에서는 이전 사업비 등을 감안, 시유지인 한밭수목원 옆 둔산대공원 일원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는 둔산대공원으로 이전이 결정되면 4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1만 1000㎡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에 7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문화예술계에서는 문화예술의전당 등 각종 문화시설이 많은 서구지역에 원도심에 위치했던 시립연정국악원까지 이전했을 경우 문화시설이 특정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서구에는 문화예술의전당과 평송청소년수련원, 시립미술관, 이응노미술관 등 문화예술 인프라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 한밭수목원에는 아열대 식물원 조성공사가 한창이고 남문광장 재창조사업까지 진행되고 있어 서구지역 내 문화시설 편중과 함께 원도심 지역 소외론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원도심인 중구에 위치한 시립연정국악원을 서구로 이전한다는 것으로 대전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원도심 활성화 대책과도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시립연정국악원 관계자는 "원도심에 위치하는 것이 명분상 맞지만 막대한 비용이 들어 시유지 이전으로 좁혀지고 있다"며 "관광유치 및 경제적 효과를 따져본다면 (둔산대공원으로의 이전이)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립연정국악원 이전 후보지로 중구 뿌리공원 내 장수마을과 서구 둔산대공원, 대전 서남부지구 도안신도시 등 3곳을 선정, 검토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시 안팎에서는 이전 사업비 등을 감안, 시유지인 한밭수목원 옆 둔산대공원 일원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는 둔산대공원으로 이전이 결정되면 4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1만 1000㎡의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에 7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문화예술계에서는 문화예술의전당 등 각종 문화시설이 많은 서구지역에 원도심에 위치했던 시립연정국악원까지 이전했을 경우 문화시설이 특정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서구에는 문화예술의전당과 평송청소년수련원, 시립미술관, 이응노미술관 등 문화예술 인프라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 한밭수목원에는 아열대 식물원 조성공사가 한창이고 남문광장 재창조사업까지 진행되고 있어 서구지역 내 문화시설 편중과 함께 원도심 지역 소외론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원도심인 중구에 위치한 시립연정국악원을 서구로 이전한다는 것으로 대전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원도심 활성화 대책과도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시립연정국악원 관계자는 "원도심에 위치하는 것이 명분상 맞지만 막대한 비용이 들어 시유지 이전으로 좁혀지고 있다"며 "관광유치 및 경제적 효과를 따져본다면 (둔산대공원으로의 이전이)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박주미 기자 jju10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