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을 둘러싼 인수합병 추진 소식이 알려지면서 해당 은행원들이 막연한 구조조정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특히 인수합병이 구체화되고 있는 하나은행 및 외환은행과 민영화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우리은행 직원들은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직장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외환은행 직원 B 씨 역시 “갑자기 들려온 인수합병 소식에 눈앞이 캄캄해지는 느낌이었다”며 “직원들끼리 인수합병 뒤 구조조정이 있을 것이 확실한데 아무래도 외환은행 출신들이 더 많이 짐을 싸게 되지 않겠냐고 수근대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현재 하나금융의 경우 외환은행 인수 방법을 지주사 밑에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을 별도로 두는 '투 뱅크' 체제로 운영하는 방안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물리적으로 인수와 동시에 합병하는 게 쉽지 않을 뿐 아니라 합병에 따른 구조조정 우려나 문화적 충격 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하나은행의 외환은행 인수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는 데다 정확한 향방도 알 수 없어, 이들 은행 직원들은 겉으로 걱정을 표시할 수도 없이 냉가슴만 앓고 있다.
하나은행 직원 A 씨는 “우리은행을 인수한다는 소문이 날 때부터 시작된 하나은행 구조조정 소문을 접한 뒤 하루하루가 불안하다”며 “외환은행 인수가 거의 가시화되고 있는 듯한 언론 보도를 접하고 혹시 모를 구조조정의 불똥이 나에게 튀지는 않을지 걱정”이라고 불안한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민영화에 차질을 빚을 지 모르는 우리은행 직원들 역시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국민은행에 이어 하나은행을 거친 우리은행 민영화 문제는 최근 단독 민영화 안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독 민영화의 경우 구조조정의 불안은 잠시 피해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실 가능성은 매우 어려워 우리은행 직원들도 노심초사하고 있다.
우리은행 직원 C 씨는 “차라리 어떤 상황이 닥치면 마음의 준비라도 하겠지만, 아무런 실체가 없는 상황에 회사의 상태가 오리무중이다보니 더욱 불안하다”며 “과장, 부장급 직원들이 예전에 흔히 하던 ‘사업 준비나 해야겠다’는 농담도 지금은 함부로 하지 못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특히 인수합병이 구체화되고 있는 하나은행 및 외환은행과 민영화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는 우리은행 직원들은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직장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외환은행 직원 B 씨 역시 “갑자기 들려온 인수합병 소식에 눈앞이 캄캄해지는 느낌이었다”며 “직원들끼리 인수합병 뒤 구조조정이 있을 것이 확실한데 아무래도 외환은행 출신들이 더 많이 짐을 싸게 되지 않겠냐고 수근대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현재 하나금융의 경우 외환은행 인수 방법을 지주사 밑에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을 별도로 두는 '투 뱅크' 체제로 운영하는 방안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물리적으로 인수와 동시에 합병하는 게 쉽지 않을 뿐 아니라 합병에 따른 구조조정 우려나 문화적 충격 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하나은행의 외환은행 인수와 관련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는 데다 정확한 향방도 알 수 없어, 이들 은행 직원들은 겉으로 걱정을 표시할 수도 없이 냉가슴만 앓고 있다.
하나은행 직원 A 씨는 “우리은행을 인수한다는 소문이 날 때부터 시작된 하나은행 구조조정 소문을 접한 뒤 하루하루가 불안하다”며 “외환은행 인수가 거의 가시화되고 있는 듯한 언론 보도를 접하고 혹시 모를 구조조정의 불똥이 나에게 튀지는 않을지 걱정”이라고 불안한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민영화에 차질을 빚을 지 모르는 우리은행 직원들 역시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국민은행에 이어 하나은행을 거친 우리은행 민영화 문제는 최근 단독 민영화 안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독 민영화의 경우 구조조정의 불안은 잠시 피해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실 가능성은 매우 어려워 우리은행 직원들도 노심초사하고 있다.
우리은행 직원 C 씨는 “차라리 어떤 상황이 닥치면 마음의 준비라도 하겠지만, 아무런 실체가 없는 상황에 회사의 상태가 오리무중이다보니 더욱 불안하다”며 “과장, 부장급 직원들이 예전에 흔히 하던 ‘사업 준비나 해야겠다’는 농담도 지금은 함부로 하지 못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