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학생자치기구 선거 시즌을 맞고 있는 지역 대학에서 선거를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후보들간 공정성 시비와 낙선자들의 이의제기, 후보자격 논란은 물론 개표까지 마친 상황에서 당선 무효 처리되는 사태까지 벌어지면서 기성 정치판보다도 심각한 내홍을 겪고 있다.

특히, 신입생 선발을 위한 정시모집 일정을 앞둔 지역 대학들은 선거로 인한 잡음이 학교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대는 지난해 학생대표자회의를 통해 선거시행 규정을 개정, 당시 총학생회장이 재출마해 당선됐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 측은 학생회장의 연임을 인정하지 않았고 갈등이 계속되면서 해당학생에 대한 제적 처분과 고소사태가 벌어지면서 학생자치기구를 제대로 구성하지 못했다.

이달초 한밭대는 회칙 개정을 통해 총학생회장이 선관위원장을 겸임하도록 한 뒤 당시 러닝메이트였던 부총학생회장이 차기년도 총학생회장 후보로 출마해 공정성 논란이 일었었다.

이 대학은 또 총동아리연합회장 선거 과정에서도 ‘전화 대리투표’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면서 잡음을 빚었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한남대 총학생회장 선거가 파행을 겪으면서 대학 학생자치기구들의 도덕성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다.

한남대는 지난 16일 총학생회장 선거를 위한 투표를 마치고 다음날 새벽 개표까지 마무리했지만 선거를 주관한 선관위에서 당선공고 대신 ‘당선무효’ 공고를 붙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선관위 측은 “후보자가 실제로는 학과부학생회장 역할을 해놓고 학생회장으로 경력을 기재해 당선무효처리했다”는 입장이지만 후보자 측은 “학교 측에 과학생회장으로 정식으로 접수된 경력이라 기재했다.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꼬투리에 불과하다”며 맞서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선관위는 해당 후보자가 장학금을 부당하게 수령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해 향후 파장이 더 커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한남대 관계자는 “학생자치기구 선거는 학생들의 고유한 권한이라 학교가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선관위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리겠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