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장애인들의 '발'로 호응을 얻고 있는 장애인콜택시가 운영대수 부족으로 증차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장애인 이동권 확보차원에서 도입된 사업인 만큼 지속적인 확충이 필요하지만 국비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지방재정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11월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과 공급 과잉상태인 택시 감차효과를 위해 전국 최초 개인택시 전일 임차 방식으로 장애인콜택시(나눔콜)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최초 20대로 출발한 장애인콜택시는 지속적인 이용자 증가에 따라 현재 40대가 운행 중이며, 휠체어와 함께 탑승이 가능한 승합차(사랑콜) 20대를 포함하면 모두 60대의 장애인 전용 콜택시가 운영 중이다.

장애인콜택시는 장애인들이 이용하는 만큼 요금도 일반택시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이용을 원하는 사람이 연일 넘쳐난다.

또 제한된 차량 대수로 특정시간대에 이용자가 크게 몰리면서 실질적으로 많은 장애인들이 혜택을 보기에는 힘든 상황이다.

실제 출퇴근이나 병원 이용이 많은 오전 7시부터 10시, 오후 5시부터 7시까지는 이용 폭주로 인터넷이나 전화예약은 하늘에 별 따기 수준이다.

콜택시를 자주 이용한다는 한 장애인은 "차량을 한 번 이용하려면 손가락이 부러지도록 전화를 해도 통화 연결이 힘들고, 그나마 연결이 되더라도 이미 예약이 끝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용을 원하는 장애인들이 넘쳐나는 만큼 증차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교통 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장애인콜택시 등 특별교통수단은 200명당 1대 꼴로 갖추도록 돼 있지만 대전지역 1·2급 장애인이 모두 1만 6700여 명인 것을 감안하면 20여대가 부족한 상황이다.

여기에 휠체어 전용 차량인 사랑콜은 이용이 번거롭고, 특정 사용자만 이용을 하면서 대다수 장애인들이 개인택시인 나눔콜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편의를 위한 증차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순수 시재정만으로 매년 20억 원이 넘는 운영비를 지원하기에는 부담스럽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이 때문에 장애인 이동권 확보를 위한 중요한 사업인 만큼 국비지원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 이동편의를 위해 도입된 활동보조(바우처) 사업 등은 국비지원이 이뤄지고 있는데 반해 동일 맥락인 장애인콜택시는 순수 지방비가 투입된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인 만큼 일정 부분 국비보조가 이뤄진다면 지속적인 증차를 통해 이용자 불편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