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학부모들에게 안전한 보육시설 선택권을 제공하기 위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사업’의 진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보육시설들은 평가인증사업에 대한 실효성 부재를 거론하면서 조직적으로 불참여론을 조성하는 등 사업 진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보육시설 평가인증사업은 한국보육진흥원이 6개월간의 인증과정 동안 보육시설의 환경여건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해 해당 보육시설을 인증해 주는 제도이다.

충남도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 9월 말까지 도내에 위치한 1634개소의 보육시설 중 777개소의 보육시설만 평가인증을 받아 인증률은 47.6%에 그쳤다.

특히 도내 보육시설의 56%가 밀집한 천안·아산 지역의 인증률은 각각 46.2%, 21.1%로 유독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보육 시설에서 평가인증에 쏟는 노력에 비해 실질적 지원을 체감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노후화된 보육시설들은 인증을 위해 개·보수와 환경여건 향상을 위한 재원을 마련해야하고 보육교사들도 별도로 시간을 마련해 인증과정에 집중해야하는 등 열악한 보육시설의 여건에서는 자발적 참여가 사실상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또 보육시설들은 인증 후 3년간의 인증기간 사후관리에도 적잖은 부담감이 따른다는 주장이다.

지역보육시설 관계자는 “법인 국공립시설에 비해 민간 보육시설에는 시설투자비 지원이 없었다”면서 “평가인증사업이 실상 학부모의 요구나 시장여건을 반영하지 못한 괴리감도 엄존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충남도는 2009년부터 평가인증 시설에 한해 보조교사 인건비 지원 사업에 78억 9200만 원, 보육교사 기프트카드 사업에 31억 4000만 원 등의 지원책을 내세워 독려하고 있지만 사정은 녹록치 않다.

특히 보육교사 기프트카드 사업은 도비를 확보하지 못해 단발성 지원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보육시설의 원장들이 평가인증 사업과 관련해 사고와 철학이 수립돼야만 가능하다”면서도 “올해부터는 인증시설이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향후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