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체육회 사무처장들의 임기만료가 다가오면서 지방선거 후 미뤄졌던 체육계 ‘논공행상’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선거 직후 떠돌다 잠잠해졌던 ‘누구누구가 온다 하더라’식의 소문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고 시·도지사와 친분이 있는 인물들과 선거 캠프 관계자 여러 명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특히, 대전의 경우 최근 시체육회와 시생활체육회, 시장애인체육회 등 3개 체육회 통합설까지 나돌면서 소문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대전은 시장이 임명할 수 있는 체육계 세 자리 요직 중 전임자들이 용퇴한 시생활체육회 사무처장과 대전시티즌 사장만 교체됐다.
비어있던 두 자리는 무성한 ‘논공행상’ 소문 끝에 예상대로 시장의 측근 인사와 선거캠프 관계자가 입성하면서 일단락됐다.
하지만 현 시체육회 사무처장의 임기만료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다시 한 번 무성한 소문이 나돌고 있다. 선거 직후 10여 명의 이름이 거론되던 것에 비하면 상당수 거품이 빠졌지만 모 가맹경기단체 회장과 전무이사, 대학교수 등 여전히 시장 측근과 선거캠프 관계자들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시체육회의 경우 실무자 한 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선거캠프 관계자가 특채된다는 소문까지 나오고 있어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또 시체육회는 정관 개정을 통해 현재 직재가 없는 상임부회장 또는 상근이사 자리를 만들 것이란 소문이 퍼지면서 ‘위인설관(爲人設官·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충남 역시 선거 이후 체육계에 특별한 인사는 없었던 상황이지만 현 도체육회 사무처장 임기만료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마찬가지로 여러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현재 도체육회 후임 사무처장 후보로는 퇴직공무원과 캠프관계자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특히, 충남은 안희정 지사의 선거공약이었던 도민축구단 창단과 관련, 천안지역을 중심으로한 체육계 인사들이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이에 대해 지역 체육계 한 원로는 “시장과 도지사가 전임자가 임명한 사무처장들의 임기를 보장해준 것은 과거 관행을 깬 긍정적인 행동이었다. 하지만 후임자 임명에 있어 지나치게 정치적인 판단이 개입될 경우 체육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아직 소문에 불과하지만 논공행상을 위해 자리를 새로 만드는 후진적인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특히, 대전의 경우 최근 시체육회와 시생활체육회, 시장애인체육회 등 3개 체육회 통합설까지 나돌면서 소문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대전은 시장이 임명할 수 있는 체육계 세 자리 요직 중 전임자들이 용퇴한 시생활체육회 사무처장과 대전시티즌 사장만 교체됐다.
비어있던 두 자리는 무성한 ‘논공행상’ 소문 끝에 예상대로 시장의 측근 인사와 선거캠프 관계자가 입성하면서 일단락됐다.
하지만 현 시체육회 사무처장의 임기만료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다시 한 번 무성한 소문이 나돌고 있다. 선거 직후 10여 명의 이름이 거론되던 것에 비하면 상당수 거품이 빠졌지만 모 가맹경기단체 회장과 전무이사, 대학교수 등 여전히 시장 측근과 선거캠프 관계자들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시체육회의 경우 실무자 한 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선거캠프 관계자가 특채된다는 소문까지 나오고 있어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또 시체육회는 정관 개정을 통해 현재 직재가 없는 상임부회장 또는 상근이사 자리를 만들 것이란 소문이 퍼지면서 ‘위인설관(爲人設官·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충남 역시 선거 이후 체육계에 특별한 인사는 없었던 상황이지만 현 도체육회 사무처장 임기만료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마찬가지로 여러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현재 도체육회 후임 사무처장 후보로는 퇴직공무원과 캠프관계자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특히, 충남은 안희정 지사의 선거공약이었던 도민축구단 창단과 관련, 천안지역을 중심으로한 체육계 인사들이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이에 대해 지역 체육계 한 원로는 “시장과 도지사가 전임자가 임명한 사무처장들의 임기를 보장해준 것은 과거 관행을 깬 긍정적인 행동이었다. 하지만 후임자 임명에 있어 지나치게 정치적인 판단이 개입될 경우 체육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특히 아직 소문에 불과하지만 논공행상을 위해 자리를 새로 만드는 후진적인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